뷰페이지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야자나무를 심는다는 것은/식물세밀화가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야자나무를 심는다는 것은/식물세밀화가

입력 2021-11-24 20:28
업데이트 2021-11-25 04: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팬데믹이 2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해외 대신 국내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었다. 지역 유명 관광지 중에는 외국 풍경을 재현한 포토스폿을 만든 곳도 많아지는 모양이다. 얼마 전 국내 출장을 다녀온 친구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사진을 보고 적잖이 놀랐는데, 배경이 동남아 휴양지 같았기 때문이다. 친구는 그곳이 강원 양양군이라고 했다. 내가 외국으로 착각한 결정적인 이유는 사진 속 야자나무 때문이었다.

야자나무는 야자나무과 식물을 총칭한다. 이들은 열대와 아열대기후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팜유라고도 하는 기름과 건축용 목재, 섬유, 요리 등에 이용돼 경제적으로 인류에게 가장 중요한 식물로 불리기도 한다. 대부분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곧게 자라기 때문에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는 조경 식물로도 심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와 일부 남부지역에서만 야자나무를 볼 수 있는 것은 이 지역의 따뜻한 기후 때문이다.

제주공항에 도착해 밖을 나서는 순간 제주도에 왔음을 실감할 수 있는 것은 곳곳에 심어진 야자나무 때문이 아닐까? 내륙에서는 식물원 온실에 가야 볼 수 있는 귀한 야자나무가 제주에는 무심히 가로수로 서 있다. 그러나 제주의 상징으로 불리는 이 야자나무 가로수는 최근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야자나무과 식물 중 우리나라 조경수로는 워싱턴야자가 가장 많이 식재된다. 그림은 워싱턴야자속 중 필리페라종이다.
야자나무과 식물 중 우리나라 조경수로는 워싱턴야자가 가장 많이 식재된다. 그림은 워싱턴야자속 중 필리페라종이다.
제주에 야자나무가 심기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말부터며 19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제주시와 중문에 가로수로 심겼다. 야자나무과 식물은 세계적으로 2500여종이 분포하는데 제주에는 워싱턴야자가 가장 많고 카나리아야자, 부티아야자도 있다. 야자나무과 식물 중 비교적 추위에 강건한 종들이다.

워싱턴야자는 한 종이 아닌 가족명이다. 이 속에는 필리페라, 로부스타와 이들을 교배한 필리부스타종이 있다. 캘리포니아야자나무라고도 불리는 필리페라종은 미국 서부에서 자생하는 유일한 야자나무로 사막의 오아시스 근처에 주로 분포한다. 멕시코야자나무로 불리는 로부스타종은 생장이 빨라 조경가와 원예가들이 특별히 선호한다.

이들은 동아시아 휴양지에서도 조경수로 애용된다. 그러나 최근 제주에서는 30여년간 성장한 야자나무들이 먼나무, 후박나무 같은 제주 자생 수종으로 교체되고 있다. 최근 이상기후로 야자나무에 돌발 병해충이 생기고 갑작스러운 겨울 한파로 냉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식재한 지 수십년이 지나 야자나무의 수고가 20m까지 크다 보니 강한 바람이 불면 나무가 부러져 건물이나 차를 덮치는 데다 넓은 잎이 전선과 뒤엉켜서 정전 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 결국 이국적인 풍경을 뒤로하고 시민 안전을 택할 수밖에 없다.

제주 야자나무는 3500여 그루로 집계되며 2010년대 이후부터는 갈수록 개체수가 줄고 있다. 새로이 식재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기존에 식재된 개체조차 죽거나 이식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제주의 선례에도 불구하고 내륙에서는 해가 갈수록 야자나무를 더 많이 식재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부산과 포항 해변가에 이어 최근에는 강원 강릉과 속초에도 워싱턴야자가 심겼다.

내가 기억하는 강원의 해변 풍경은 오래된 해송숲과 모래사장을 지나 보이는 바다의 모습이다. 그러나 인간은 늘 봐 왔던 익숙한 풍경을 보길 원치 않는다. 우리나라 사람들 눈에 소나무숲은 너무 평범하다. 늘 새로운 풍경을 보길 원하는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서 지자체와 개인 사업자들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특별하고, 거대하고, 새로운 식물을 식재하는 것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지금 내가 이야기하는 주제는 야자나무지만 최근 우리나라에 팜파스, 핑크뮬리 밭이 우후죽순 조성되는 것도 이색적인 풍경을 원하는 우리의 욕망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아프리카 카나리아제도 원산의 카나리아야자. 워싱턴야자에 비해 수고가 낮아 제주와 내륙 남부지역의 정원 식물로 애용된다.
아프리카 카나리아제도 원산의 카나리아야자. 워싱턴야자에 비해 수고가 낮아 제주와 내륙 남부지역의 정원 식물로 애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추위에 강한 워싱턴야자를 심고 있지만 이들이 강원의 겨울을 건강히 나고 제 모습으로 생장할 수 있을지 걱정될 수밖에 없다. 도시의 나무는 ‘관상’이라는 인간의 단출한 목적을 위해 너무 많은 것을 감내하도록 강요된다. 적재적소에 심기지 못하는 나무들, 자생지 환경과 동떨어진 곳에 살아야 하는 나무들의 삶은 더욱 고달프다.

워싱턴야자는 자생지에서 수명이 100세를 넘기기도 한다. 인간보다 오래 사는 생물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심어진 이들은 식재된 지 30여년 만에 삶과 죽음의 기로에 놓였다. 우리나라에서 야자나무를 처음 도입해 심고 관리해 온 제주에서 야자나무를 자생식물로 교체하는 선택을 한 것은 결국 이 땅에 가장 잘 적응할 수 있는 식물은 그 지역의 자생식물이라는 것, 그리고 우리의 욕망은 그만큼의 후유증을 낳을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2021-11-25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