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전공·일자리 ‘따로국밥’ 심각… 대졸 청년 5명 중 1명은 백수

전공·일자리 ‘따로국밥’ 심각… 대졸 청년 5명 중 1명은 백수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1-11-18 22:40
업데이트 2021-11-19 0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률 75%… OECD 37개국 중 31위
취업자 52%는 학과 무관한 직업 선택
“대학 정원 규제로 산업 인력 공급 차질”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대졸 청년의 취업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37개국 중 31위에 그친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청년 대졸자 5명 중 1명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는 등 청년 취업난이 악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OECD 회원국 청년(25∼34세)의 고등교육 이수율과 고용 지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대졸 청년 고용률은 영국(90.6%), 독일(88.4%), 일본(87.8%) 등에 비해 낮은 75.2%로 31위에 머물렀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대졸 청년 중 ‘일할 능력이나 의사가 없어 일하지 않는 사람’에 해당하는 비경제활동인구 비율은 20.3%로 OECD 37개국 중 세 번째로 높았다. 이들은 10명 중 3명꼴로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지만 10명 중 2명은 “그냥 쉬고 있다”고 답했다.

한경연은 대졸 청년의 취업이 지연되는 이유 중 하나로 전공과 일자리의 ‘미스매치’를 꼽았다. OECD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공과 직업 간 불일치율은 50.0%로 OECD 22개국 중 1위였고, 올해 통계청 조사에서도 일자리와 전공의 불일치율은 52.3%로 취업자의 절반 이상은 전공과 무관한 일자리에 취업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경연은 이어 전공과 직업 선택의 불일치가 심한 이유로는 대학 정원 규제를 꼽았다. 미국 스탠퍼드대의 컴퓨터공학과 정원은 2008년 141명에서 지난해 745명까지 5배 넘게 증원됐지만, 우리나라는 서울대의 경우 55명에서 70명으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경연은 대학 정원 규제를 완화해 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연은 또한 고학력을 요구하는 일자리 증가 속도가 대졸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노동 시장의 수급 불균형 문제도 지적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대졸자가 연평균 3.0% 증가했지만, 고학력 일자리는 1.3% 증가에 그쳤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대학 정원 규제 완화, 대학 교육 경쟁력 강화를 통해 전공·직업 간 미스매치 해소에 힘쓰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21-11-19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