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없는 대나무가 1년에 최대 11m 이동…어떻게?

발 없는 대나무가 1년에 최대 11m 이동…어떻게?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1-10-21 13:35
업데이트 2021-10-21 1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산림과학원, 최근 2년간 27곳 조사
20년간 대나무숲 최대 4㏊까지 확대

발없는 대나무가 일년에 최대 11m 이동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씨앗이 아닌 땅 속 뿌리줄기로 번식하는데 확산 범위가 매우 넓은 것으로 확인됐다.
왕성한 번식력을 보이는 대나무가 일년에 최대 11m 이동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나무는 씨앗이 아닌 땅 속 뿌리줄기로 번식하는데 확산 범위가 매우 넓다.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왕성한 번식력을 보이는 대나무가 일년에 최대 11m 이동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나무는 씨앗이 아닌 땅 속 뿌리줄기로 번식하는데 확산 범위가 매우 넓다.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21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20~2021년까지 2년간 대나무의 확산 특성 규명을 위해 경남 진주·하동·산청·의령 등 27곳에서 현장조사한 결과 평균 2.8m, 최대 11m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00∼2019년까지 20년간 경남 진주·사천·거제 등 8곳을 항공 촬영해 분석한 결과 평균 2㏊, 최대 4㏊까지 대나무숲이 확대됐다.

국내 대나무 면적은 2만㏊로 추산되는데 연평균 기온이 10도 이상, 강수량 1000㎜ 이상의 생육환경이 요구되면서 경상도와 전라도에 96%가 자생한다. 대나무는 탄소흡수, 연료, 가구 재료, 식용, 황폐지 토양 개량, 조경수 등 다양한 기능이 있다. 매년 뿌리줄기 생장으로 죽순을 생산하기도 한다. 대나무숲 1㏊의 연간 탄소 흡수량은 30t 이상으로 소나무숲보다 3배 이상 많다.

다만 숲이 방치되면 인접 농경지, 묘지, 건축물 등으로 확산돼 민원을 유발할 수 있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 손영모 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장은 “탄소흡수량이 많고 화석연료 대체재로 활용 가능한 대나무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과 함께 건강한 숲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