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가 통제하는 K팝 관행, 더 이상 실용적이지 않다”

“회사가 통제하는 K팝 관행, 더 이상 실용적이지 않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1-10-01 17:04
업데이트 2021-10-01 17: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엘베즈 하버드 교수, 뮤콘 2021 강연
기획사 통제 대신 자유·융통성 강조
“BTS, 성공사례 변화로 이어질 것”
애니타 엘베즈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가 1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1 서울국제뮤직페어’(MU:CON·뮤콘)에서 ‘글로벌 슈퍼스타들의 부상-그것에서 우리가 배울 점’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애니타 엘베즈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가 1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1 서울국제뮤직페어’(MU:CON·뮤콘)에서 ‘글로벌 슈퍼스타들의 부상-그것에서 우리가 배울 점’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성공 배경을 연구해 주목받은 애니타 엘베즈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가 “기존 K팝에 관행처럼 있어 왔던 회사의 전면적인 통제는 더 이상 실용적인 전략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엘베즈 교수는 1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해 온라인으로 개최된 ‘2021 서울국제뮤직페어’(MU:CON·뮤콘)에서 ‘글로벌 슈퍼스타들의 부상-그것에서 우리가 배울 점’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며 이같이 밝혔다.

엘베즈 교수는 기존 스타들과 방탄소년단을 비교하며 “기존에는 회사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스타들은 자신의 커리어에 대한 통제권이 거의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BTS를 보면 큰 변화가 느껴진다”고 짚은 앨베즈 교수는 “기존 K팝 시스템이 오늘날의 세계에서도 번영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려워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금의 스타들은 더 많은 자유와 융통성을 가지고 있고 자신의 커리어에 대한 발언권이 있다”며 BTS 같은 성공 사례가 변화로 이어지리라고 내다봤다.

그룹 방탄소년단. 빅히트 뮤직 제공
그룹 방탄소년단. 빅히트 뮤직 제공
엘베즈 교수는 뮤지션 중 자신의 직업에 강한 통제권을 가졌던 사례로 팝스타 비욘세와 제이지를 들었다. 그러면서 “오늘날의 비즈니스 리더들이 잡을 수 있는 도전과 기회는 재능 있는 스타들과 진정한 파트너가 되는 데 있다”며 “그들과 통제권을 다툴 것이 아니라 함께 일하고 그들이 꿈을 이루도록 도와 달라”고 조언했다.

엘베즈 교수는 엔터테인먼트와 스포츠 산업 등을 연구하며 ‘블록버스터 법칙’ 등의 책을 쓴 경영학자다. 지난해 방탄소년단과 소속사 하이브의 사례연구를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에 공개해 관심을 모았다. 또한 방시혁 의장 등 하이브 관계자들을 인터뷰한 ‘빅히트와 블록버스터 밴드 방탄소년단:전 세계로 뻗어나가는 K팝’ 보고서에서 소속사가 아티스트에게 부여한 자율성을 성공 요인 중 하나로 꼽았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