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저신용자 전세보증 지원은 줄이고 고소득자 갭투자는 눈감은 주금공

[단독] 저신용자 전세보증 지원은 줄이고 고소득자 갭투자는 눈감은 주금공

윤연정 기자
입력 2021-09-30 21:04
업데이트 2021-10-01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년간 전세보증 7등급 이하 12.7% 그쳐
작년 8.8%… ‘코로나 타격’ 저신용자 외면
4~6등급도 줄어… 고신용자 보증은 급증

이미지 확대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코로나19 사태로 전세자금보증 지원이 더 절실한 저신용자들을 사실상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배진교 정의당 의원실이 한국주택금융공사로부터 받은 ‘2017~2020년까지 신용등급별 전세자금보증 공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4년 동안 전세자금보증을 받은 ‘7등급 이하’(저신용자)는 모두 30만 2022건으로 전체(237만 6653건) 비중의 12.7%에 그쳤다. 금액으로는 15조 5857억원으로 이 또한 전체 금액(148조 3400억원) 중 10.5%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4~6등급 중신용자의 전세자금보증 건수는 118만 4073건(49.8%, 76조 4254억원)이었고, 가장 신용도가 높은 고신용자의 보증 건수는 89만 549건(37.5%, 56조 3284억원)이었다.

전세자금보증은 낮은 신용등급이나 금융권 대출 제한을 받는 세입자가 은행에서 전세자금을 대출받고자 할 때 이들을 신용할 수 있다는 담보로 주택금융공사가 보증서를 발행해 주는 제도다. 문재인 정부는 부동산 대출 규제를 시행하면서 실수요자들이 피해받지 않도록 지원하겠다고 했지만, 사실상 저신용자들을 외면하고 고소득자들이 고가 전세를 구매하며 이를 활용해 갭투자하는 데 눈감고 있었던 셈이다.

문제는 경제 사정이 녹록지 않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신용등급에 따른 전세자금보증 양극화가 더 심해졌다는 점이다. 지난해 공급된 전세자금보증액은 50조 6948억원인데, 이 가운데 7등급 이하 저신용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고작 8.8%(4조 4425억원)에 불과했다. 2019년(4조 9993억원)에 비해 3.6% 포인트 감소했다. 지난해 공급 건수도 7만 8327건으로 전체 비중의 10.9%에 그쳤다.

4~6등급 중신용자 비중도 41.4%(20조 9902억원)로 2019년(59.5%)에 비해 무려 18.1% 포인트 낮아졌다. 1~3등급은 49.8%(25조 2617억원)를 차지했는데 이는 2019년(28.1%)의 두 배 가까이 되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중저신용자가 되레 전세자금보증 받기가 어려워졌다는 얘기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과 교수는 “주택금융공사의 본래 목적은 저소득층 등 어려운 사람들이 피해를 보지 않게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이러한 역할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애초에 고신용자들은 은행에서 알아서 대출해 주는 만큼 국가가 보증을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2021-10-01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