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확진 다시 2000명대… 추석 방역 완화 우려

신규 확진 다시 2000명대… 추석 방역 완화 우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1-09-01 20:46
업데이트 2021-09-02 0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일 거리두기 조정·추석 방역대책 발표
가족모임·요양시설 면회 허용 여부 관심
온라인 성묘·장사시설 추모객 총원 제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다시 2000명대를 넘어서면서 추석 연휴 방역 대책 완화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확진자 규모가 커진 상황에서 추석 연휴 이동으로 전파가 가속화되면 백신 접종률을 아무리 높여도 ‘위드 코로나’는 요원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2025명이었다. 지난달 25일 이후 1주일 만에 다시 2000명을 넘어섰다. 정부는 3일 거리두기 조정안과 추석 특별방역대책을 함께 발표한다. 가족모임과 요양병원·요양시설 면회를 허용할지가 최대 관심사다.

정부는 우선 성묘객 분산을 위해 온라인 추모·성묘 서비스, 장사시설 1일 추모객 총량 예약제 등을 특별방역대책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기업형 슈퍼마켓(SSM)으로 불리는 준대규모 점포에 3일부터 출입명부 관리 도입을 권고하는 등 방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추석 고비를 잘 넘겨 코로나19와 공존하는 ‘위드 코로나’를 시행하려면 접종률·위중증률·치명률 관리가 필수다. 영국·이스라엘보다는 싱가포르 사례를 참고해 방역체계를 점진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영국·이스라엘은 방역을 단번에 푼 상태에서 델타 변이 유행으로 위중증·사망자가 급증해 다시 위기를 맞은 반면 싱가포르는 단계적 전략을 써 안정적으로 일상을 회복하고 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싱가포르는 강력한 봉쇄 전략을 쓰다가 최근 강도를 조금씩 완화해 위중증·사망자 추이를 살피고 의료체계에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 방역과 일상의 균형점을 찾아가고 있다”며 “영국과 싱가포르의 중간 정도가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지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영국 모델은 사망자가 어느 정도 나오는 건 감수하겠다는 것인데, 우리 국민은 사망자가 폭증할 수도 있는 이런 체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국은 지난 7월 19일 ‘위드 코로나’를 공식화하고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모임 제한 등을 일제히 해제했다. 이스라엘 역시 지난 6월 국민 대다수가 백신 접종을 마치자 방역 조치를 대부분 해제했고, 그 뒤로는 봉쇄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그 결과 신규 확진자가 이스라엘에서는 1만명대, 영국에서는 2만명대로 발생하고 있다. 위중증률도 관리가 안 돼 영국의 중환자와 사망자는 ‘위드 코로나’ 이전보다 2배가량 늘었다. 빗장을 섣불리 푼 탓이다. 앞서 정은경 질병관리청장도 “위드 코로나로 전환하더라도 바로 거리두기나 방역 수칙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1-09-02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