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표적 아니었나? 저격수 ‘황당 실수’

이 표적 아니었나? 저격수 ‘황당 실수’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1-08-03 21:54
업데이트 2021-08-04 0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쿨리시, 소총 결승서 경쟁자 과녁 맞혀

우크라이나의 사격선수 세르히 쿨리시
우크라이나의 사격선수 세르히 쿨리시
“내가 어디에 쏜 거지.”

예비군 훈련장에서나 볼 수 있는 자신의 표적지 대신 상대방의 표적에 총을 쏘는 황당한 일이 올림픽 경기에서 벌어졌다. 이런 어이없는 상황을 만든 주인공은 우크라이나의 세르히 쿨리시(28). 쿨리시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소총에서 은메달을 딴 실력자이다.

쿨리시는 지난 2일 일본 도쿄 아사카훈련장에서 열린 올림픽 사격 남자 50m 소총 3자세 결승전에서 35번째 탄환을 경쟁자 표적에 쐈다. 34번째 격발 때까지는 4위를 달리고 있었지만 35번째 탄환이 무효 처리되면서 쿨리시는 8위로 내려앉았다.

결국 금메달은 446점으로 올림픽 신기록을 달성한 중국의 장창홍(21)에게 돌아갔고, 은메달은 464.2점을 쏜 러시아올림픽위원회(ROC)의 세르게이 카멘스키가 차지했다. 동메달은 448.2점을 쏜 세르비아의 밀렌코 세빅(37)이 획득했다. 쿨리시는 최종점수 402.2점, 8명 중 꼴찌로 경기를 끝냈다.

경기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난 쿨리시는 “별로 유쾌하지 않다”면서 “누가 옆 사람의 표적에 쏠까라는 생각을 했는데 그게 바로 나였다”고 자책했다. 엉뚱한 표적을 쏜 이유를 묻는 질문에 대해 쿨리시는 “재킷 단추가 풀려 있어서 불편하고 신경이 쓰였는데 경기 중에 단추를 여밀 시간이 없다 보니 그 상태에서 총을 쏠 수밖에 없었다”면서 “총을 쏘기 전까지 다른 사람의 표적을 겨냥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아채지 못했다”고 허탈해했다.

올림픽 사격경기에서 남의 표적을 쏜 것은 쿨리시가 처음은 아니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 당시 유력한 금메달 후보였던 미국의 매슈 에먼스(40)도 남자 50m 사격 3자세 결승 1위로 경기 중에 30점이나 앞서는 상황에서 마지막 총알을 바로 옆 표적에 쏜 것이다. 잘못 쏜 총알 한 발이 0점 처리되면서 에먼스는 금메달을 코앞에서 놓친 바 있다.
최영권 기자 story@seoul.co.kr
2021-08-04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