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난감한 日… 메달 퍼포먼스·주요 정상·스포츠 스타 ‘3無 올림픽’

난감한 日… 메달 퍼포먼스·주요 정상·스포츠 스타 ‘3無 올림픽’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1-07-15 21:50
업데이트 2021-07-16 02: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수가 ‘셀프 메달 수여’ 등 접촉 최소화
확진 땐 기권 처리… 밀접접촉자 규정 모호
관중없는 개막식에 관계자 1000명 이하

해외 정상 참석 차기 개최국 마크롱 유일
美 바이든 대신 질… 文대통령 방일 불투명
테니스, 페더러·나달·세리나 등 빠져 맹탕
15일 도쿄 오다이바 인근에 설치된 오륜기 조형물을 한 시민이 촬영하고 있다.  도쿄 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15일 도쿄 오다이바 인근에 설치된 오륜기 조형물을 한 시민이 촬영하고 있다.
도쿄 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오는 23일 개막하는 도쿄올림픽에서는 메달리스트가 메달을 깨무는 퍼포먼스를 볼 수 없게 된다. 확진된 선수는 출전할 수 없고 ‘기권’ 처리된다. 하지만 밀접접촉자에 대한 경기 출전 여부는 모호해 혼란이 우려된다.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유명 스포츠 스타는 물론 각국 주요 정상들이 도쿄올림픽에 불참하면서, 국제대회의 모습을 보여 줘 그간의 올림픽 반대 목소리를 잠재우려고 했던 일본 정부의 계획도 어긋나게 됐다.

15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전날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 도쿄에서 화상 기자회견을 열고 “메달을 목에 걸어 주지 않을 것”이라며 “쟁반에 담아 선수에게 제공하면 선수가 직접 메달을 가져가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악수나 포옹도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으로 메달을 딴 선수는 마스크를 낀 채 시상식에 참석해 스스로 메달을 목에 걸게 됐다. 앞서 지난해 미국프로농구(NBA) 시상식에서 우승한 LA 레이커스 선수단도 트로피를 직접 챙긴 바 있다.

또 이날 대회 조직위원회가 공개한 ‘플레이북’에 따르면 올림픽 출전 선수와 코치는 매일 코로나19 타액 검사를 받는데, 양성 판정이 나오면 출전할 수 없다. 하지만 밀접접촉자에 대한 처리 문제는 모호하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플레이북은 밀접접촉자의 경기 출전에 대해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조치가 결정된다’고 되어 있다는 것이다.

개막식도 관중 없이 개최되는 가운데 대회 관계자의 참석 인원도 최소화하는 등 썰렁한 분위기에서 치러질 전망이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와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 등은 23일 개막식에서 대회 관계자의 참석 규모를 1000명 이하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IOC 관계자와 후원사 등 1만여명 참석을 목표로 했지만 이 역시 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참석 규모를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국가원수가 하도록 규정돼 있는 올림픽 개회선언도 나루히토 일왕이 마사코 왕비를 대동하지 않고 홀로 할 예정이다.

코로나19는 도쿄올림픽에 찾아오는 손님도 줄어들게 했다. 개막식에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해외 정상은 차기 대회인 2024년 파리올림픽을 여는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유일하다. 일본 정부가 공들인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 대신 질 바이든이 참석한다. 한국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할지 검토 중이다. 일본 자민당의 2인자인 니카이 도시히로 간사장이 문재인 대통령의 도쿄올림픽 개막식 참석을 요청했다. 하지만 한일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놓고 한국과 일본 정부가 힘겨루기를 하고 있어 문 대통령의 방일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해외 유명 스포츠 스타의 불참도 이어지고 있다. 남자 테니스에서는 로저 페더러와 라파엘 나달이 불참한다. 세계랭킹 1위 노바크 조코비치는 참석 가능성이 반반이라고 했다. 또 여자 테니스에서는 세리나 윌리엄스, 시모나 할레프 등이 불참하면서 ‘맹탕’ 경기가 열린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21-07-16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