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 적’ 틱톡

‘공공의 적’ 틱톡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1-07-13 20:48
업데이트 2021-07-14 02: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공산당의 첩자”
中 “개인정보 유출”

이미지 확대
틱톡. 로이터 연합뉴스
틱톡.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 공유차량 플랫폼 ‘디디추싱’(디디)의 미국 증시 상장 이후 중국 데이터 기업에 대한 정부의 ‘군기 잡기’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소셜미디어 ‘틱톡’의 운영사 바이트댄스가 올해 초 중국 당국과의 면담 이후 뉴욕증시 기업공개(IPO)를 포기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당국은 중국 내 개인정보가 미국으로 흘러갈 수 있음을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중국 공산당의 첩자’로 비난받은 틱톡이 역으로 중국에서도 ‘공공의 적’으로 낙인찍힌 모양새다.

●바이트댄스, 中당국 면담 후 美상장 포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바이트댄스의 창업자 장이밍 최고경영자(CEO)가 올해 3월 중국 인터넷 감독 기구인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 관계자를 만난 뒤 미국 상장 계획을 무기한 연기했다”고 전했다. 당시 CAC는 “틱톡 등 애플리케이션(앱)이 데이터 보안 규정을 위반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바이트댄스가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관리하는지 확인했다. 면담 다음달인 4월 장이밍은 “당분간 상장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5월에는 “연말까지 인수인계 작업을 마치고 CEO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선언했다. 중국 인터넷 당국의 압박이 강해지자 경영 리스크를 줄이고자 결단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은 “미국인의 개인정보가 중국 공산당으로 넘어갈 수 있다”며 틱톡의 미국 사업을 매각하라고 명령했다. 바이트댄스는 미 통신장비업체 오라클과 ‘틱톡 글로벌’을 세우기로 하고 협상을 벌였다. 그러나 조 바이든 대통령은 올해 1월 취임 직후 틱톡에 대한 행정명령을 폐기했다. ‘전임자처럼 감정적이고 극단적인 방식으로 중국을 때리진 않겠다’는 의도다.

그런데 이번에는 중국 정부가 미국의 ‘화해 제스처’를 거부하고 바이트댄스의 앞길을 가로막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트럼프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자국 개인정보가 적국으로 넘어갈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미중 두 나라 모두에 미운털이 박힌 바이트댄스의 처지는 너무 많은 개인정보를 거머쥔 빅테크 기업들의 ‘예고된 미래’라는 전망이 나온다.

●中 70여개 민간기업 美서 IPO 불발 위기

디디 상장으로 촉발된 중국의 빅테크 규제 여파는 지금도 빠르게 퍼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의료정보업체 ‘링크닥’이 미국 증시 IPO를 포기하는 등 뉴욕 입성을 준비하던 70여개의 중국 민간기업이 불발 위기에 놓였다”고 전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도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의 미 증시 IPO를 허가제로 바꾸면서 이들이 뉴욕을 포기하고 홍콩 자본시장을 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1-07-14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