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銀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사활’… 올 잔액 2.5조 순증해야

인터넷銀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사활’… 올 잔액 2.5조 순증해야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1-06-21 18:06
업데이트 2021-06-22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카오’ 한도 1억으로… 금리 1.52%P↓
‘케이’ 비급여 소득자도 최대 5000만원
‘토스’ 9월말 출범… 새 상품 선보일 듯
“리스크 관리 관건”… 과열 경쟁 우려도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에 이어 토스뱅크도 최근 은행업 본인가를 받고 시장에 뛰어들면서 중·저신용자 대출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3개사가 올해 중·저신용자 대출 잔액을 지난해 말보다 2조 5470억원가량 늘리기로 약속한데 이어 금융당국이 계획 이행 여부를 점검해 신산업 진출 인허가 심사 때 고려하겠다고 밝히자 발등의 불이 떨어진 것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중·저신용자 대출 잔액 순증 목표액이 가장 큰 카카오뱅크가 가장 먼저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3사 중 가장 많은 1조 7602억원을 목표 금액으로 잡은 상태다. 케이뱅크는 6232억원을, 오는 9월 말 정식 출범 예정인 토스뱅크는 1636억원을 각각 목표로 설정했다. 중·저신용자는 신용등급 4등급 이하(신용평점 하위 50%, 코리아크레딧뷰로 기준 820점 이하) 차주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카카오뱅크는 지난 9일부터 신용점수(코리아크레딧뷰로 기준) 820점 이하 고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중신용대출 상품의 최대 한도를 기존 7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리고 가산금리를 1.5% 포인트 인하해 금리를 최대 1.52% 포인트 내렸다. 또 지난 10일부터 한 달 동안 신용대출 또는 직장인 사잇돌대출을 새로 받은 중·저신용 고객에게 첫 달 이자를 면제해주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다음달 9일까지 중·저신용 고객이 ‘26주 적금’에 가입하면 이자를 두배 지급하는 이벤트도 한다.

다음달 초 1조 2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마무리할 예정인 케이뱅크는 하반기에 주주사인 BC카드, 다날이 보유한 결제 정보와 관계사인 KT가 보유한 통신사 이용행태 정보 등을 결합한 새 신용평가 모형을 도입해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상품인 ‘신용대출 플러스’를 개선해 직장인뿐 아니라 자영업자 등 비급여 소득자에게도 최대 5000만원까지 공급할 수 있도록 했다. 9월 말 출범 예정인 토스뱅크는 영업 개시와 함께 중·저신용자를 포함한 개인과 자영업자 대상의 신용대출를 선보일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과열경쟁 우려도 나온다. 신용도가 낮다는 것은 그만큼 연체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여서 무리하게 대출을 확대했다가 건전성에 타격을 입으면 다른 고객들에게 피해가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인터넷은행은 출범 초기여서 금융당국의 눈치보기가 치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 “당장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플랜을 짜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장기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리스크 관리가 관건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21-06-22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