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아주 작은 성취감/한승혜 주부

[2030 세대] 아주 작은 성취감/한승혜 주부

입력 2021-06-17 20:40
업데이트 2021-06-18 0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승혜 주부
한승혜 주부
폴댄스를 배운 지 3개월이 됐다. 체력도 떨어지고 기분이 바닥을 친 상황에서 이대로는 안 되겠다 싶어 운동이라도 해보려고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우연히 집 근처 폴댄스 학원을 알게 됐다. 체험 수업은 무료라길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용 ‘인증샷’이라도 건져 보려는 충동적인 마음이었는데, 이리 빠지게 될 줄 미처 몰랐다.

첫 주에는 팔과 어깨가 아파서 수저도 잘 들지 못했다. 둘째 주에는 허벅지 안쪽이 온통 새카맣게 피멍이 들었다. 셋째 주에는 손바닥 껍질이 벗겨졌다. 넷째 주에는 근육통으로 잠을 이루지 못했다. 밤새 끙끙 앓으며 대체 몸이 왜 이렇게 아픈 것일까 고민하는데, 생각해 보니 안 아프면 더 이상한 것이었다. 쇠몽둥이로 두들겨 맞다시피(?) 했으므로. 여전히 전신을 바짝 긴장시킨 채로 폴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을 때마다 생각하곤 한다. 나는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나는 왜 고통을 자처하고 있는가.

이처럼 폴댄스에 빠져 지낸 이후로는 만나는 지인들마다 물어본다. “그게 그렇게 재밌어요?” “엄청 힘들 것 같은데 왜 재밌지?” “아플 것 같은데 어떻게 참고 해요?” 이런 질문을 들을 때마다 “네! 재밌어요!” 하고 확신에 차서 대답하곤 했지만, 솔직히 말하면 나 스스로도 뭐가 그리 재미있는지 이유는 잘 몰랐던 것 같다. 힘들고 아픈데. 그러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 재미의 정체는 어쩌면 성취감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폴댄스 수업에서의 나는 여전히 초보이며 수업시간에 열등생에 가까운 존재이지만, 이제는 3개월쯤 지났다고 같은 동작을 하더라도 더 아름답게,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됐다. 팔꿈치 안쪽이나 무릎 안쪽을 폴에 걸고 버틸 때 느껴지던 눈이 번쩍 뜨일 정도의 아픔 또한 한결 참을 만해졌다. 폴에 매달릴 수 있는 시간 역시 1분가량으로 훌쩍 늘어났다. 5초나 버틸까 말까 하던 첫날에 비하면 비약적인 성과다.

성취감. 오랫동안 나는 이 성취감이라는 것이 바깥으로부터 온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타인에게 인정을 받는 것, 남보다 뛰어난 것이 더 중요하다고도 생각했다. 남들과 비교해 나보다 뛰어난 사람이 있으면 질시하고, 나보다 못한 사람이 있으면 우월감을 느꼈다. 그러나 질시는 곧 열등감으로 이어졌고, 우월감 역시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위태로운 감각이었다. 그 끝은 늘 스스로에 대한 자괴감으로 돌아왔다.

이제 나는 성취감이 아주 작은 변화에서 올 수 있다는 것을 안다. 비교의 대상은 오로지 나 자신뿐이라는 것 또한 안다. 과거의 나보다, 어제의 나보다 아주 약간 더 좋아진 오늘의 나. 어제보다 조금 더 오래 매달리고, 어제는 안 되던 동작을 성공시키고, 같은 동작이라도 보다 정교하게 구현해 낼 수 있게 된 나. 비록 어제는 실패했지만 그것을 오늘 다시 시도해 보는 나. 그것이 무엇이든 어떤 것을 과거보다 능숙하게 할 수 있게 된 나. 그러면서 나는 스스로를 조금 더 좋아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2021-06-18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