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9명 “월급 스쳐가는 경험” 이유는

직장인 10명 중 9명 “월급 스쳐가는 경험” 이유는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1-06-03 07:43
업데이트 2021-06-03 09: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7.7%가 “급여가 적어서” 응답

이미지 확대
직장인 10명 가운데 9명은 월급이 통장에 스쳐가는 경험을 하고 있다며, 가장 큰 이유로 ‘급여가 적어서’라고 응답했다.

3일 잡코리아에 따르면 최근 알바몬과 직장인 8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2.2%가 ‘월급 순삭(순식간에 삭제)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직장인 월급은 평균 2주 만에 소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조사로 물은 월급 소진 기간에 ‘평균 14일’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통장 잔고 부족일 때의 해결 방안은 ‘신용카드 사용(44.5%, 복수응답)’, ‘부모님 및 가족에게 부탁(34.6%)’, ‘현금 서비스 이용(16.5%)’ 순이었다.

월급 순삭을 겪는 이유(*복수응답)는 ‘급여가 적어서’가 응답률 57.7%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카드 대금을 갚느라 남는 돈이 없어서(38.3%)’, ‘집안 살림에 보태야 해서(27.2%)’, ‘충동 소비를 해서(17.8%)’ 등이었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80.9%는 ‘내 통장의 월급을 누가 가장 많이 빼 가는지’란 질문(*복수응답)에 ‘카드사(식비/쇼핑 등 기본 생활비 지출)’라고 답했다. ‘은행(대출)(28.4%)’, ‘집주인(월세)(28.4%)’, ‘통신사(16.7%)’, ‘보험사(13.8%)’ 등이 뒤따랐다. 직장인이 카드 값으로 지출하는 월평균 금액은 ‘약 100만 원’ 선이었다.
직장인이 가장 아까워하는 지출 1위는 ‘집 대출 이자 및 월세(41.7%, 복수응답)’였다. 다음으로는 연령대 별로 차이를 보였다. 가장 아까운 지출 2위로 20대는 ‘교통비(33.2%)’, 30대와 40대는 ‘충동소비(30대 31.4%, 40대 37.1%)’를 꼽았다. 3위는 20대의 경우 ‘충동 소비(32.1%)’, 30대 ‘통신비(27.6%)’, 40대 ‘보험금(34.6%)’이라고 답했다.

직장인 응답자 절반 이상은 수익성이 높을지라도 위험부담이 동반되는 투자 운용보다는 안정적으로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은행 저축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급에 대한 생각’을 물은 결과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소액이라도 꾸준히 저축해야 한다(63.9%)’고 답했다. 이어 ‘주식 투자 등 재테크를 해서 돈을 불려야 한다(19.5%)’, ‘내가 지금 당장 하고 싶은 걸 하며 써야 한다(8.3%)’ 등이 뒤를 이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