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재료값 상승에 잘 나가던 ‘라면 빅3’ 우울한 1분기···수익성 ‘뚝’

원재료값 상승에 잘 나가던 ‘라면 빅3’ 우울한 1분기···수익성 ‘뚝’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1-05-19 16:44
업데이트 2021-05-19 16: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라면
라면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호실적을 누린 라면업계가 이번 1분기에는 우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라면 매출이 줄어든 가운데 원재료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수익성이 악화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라면 1위 농심은 올 1분기 매출 6344억원, 영업이익은 28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각각 7.7%, 55.5% 감소했다.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등을 생산하는 삼양식품은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0.5% 감소한 1400억원, 영업이익은 46.2% 빠진 144억원을 기록했다. 비교적 선방했다는 오뚜기도 매출은 전년보다 4.0% 성장한 6713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12.3% 떨어진 502억원에 머물렀다. 농심과 삼양라면의 매출액 중 라면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약 80%, 95%에 달한다.

우선 라면의 생산단가를 좌우하는 ‘팜유’와 ‘소맥분’ 가격이 급등한 것이 직격탄이었다. 농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미국 시카고 선물거래소의 소맥 선물가격은 t당 238 달러(약 27만원)로 지난해(202 달러)보다 18% 상승했고,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팜유 현물가격은 t당 980 달러로 지난해(627 달러)보다 56%나 급등했다. 그럼에도 서민 음식인 라면은 가격 인상에 민감해 원재료 상승분을 그대로 반영하기 어렵다. 농심은 ‘신라면’ 가격을 2016년 이후 동결 중이고 삼양식품도 2017년 삼양라면 가격 인상 이후 올린 적이 없다. 오뚜기는 2008년부터 13년간 ‘진라면’ 가격을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인상을 시도했다가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지난해 매출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도 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 가정 내 비축용으로 라면을 쟁여두는 물량이 많아지면서 라면회사들의 실적이 크게 뛰었다. 여기에 농심은 영화 ‘기생충’에 나온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 홍보 효과까지 누리며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636억원)이 2019년 동기보다 101%나 급등하기도 했다. 삼양식품도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이 2019년 동기보다 73% 상승한 267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바 있다. 오뚜기도 지난해 1분기 572억원(전년보다 7%↑)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바 있다.

한유정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이 지난해 1분기 말부터 북미 등에서는 2분기부터 본격화되는 등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고 있기 때문에 2분기에도 전년보다 큰 폭의 이익 감소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