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5인 금지’ 풀고, 경남은 조이고… 지자체별 조정, 괜찮을까

경북 ‘5인 금지’ 풀고, 경남은 조이고… 지자체별 조정, 괜찮을까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1-04-25 21:48
업데이트 2021-04-26 0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말 영향에도 600명대 확진

오늘부터 청도 등 일주일 ‘8명까지’ 완화
‘확진 급증’ 경남 사천·김해·진주 2단계로
‘공무원 확진’ 옥천군, 전 직원 금주·금족령
이미지 확대
봄나들이 철이지만… “경계심 늦추지 말자”
봄나들이 철이지만… “경계심 늦추지 말자” 완연한 봄 날씨를 보인 25일 서울 경부고속도로 잠원IC 부근이 차량들로 붐비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이처럼 봄나들이 등으로 사람 간 접촉과 이동량이 늘어나자 정부는 재택근무·시차 출퇴근·대면 최소화 등의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뉴스1
주말에도 코로나19 확진자가 600명을 넘어서는 등 좀처럼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가운데 전국 자치단체가 지역에 맞는 거리두기 단계 조정에 들어갔다. 신규 확진자가 급증하는 경남도는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했고, 경북도는 ‘5명 이상 모임 금지’를 ‘9명 이상 모임 금지’로 완화했다. 이에 방역 당국은 특별방역관리주간을 선포하고 공공과 민간 부문 방역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5일 0시 기준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644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닷새 만에 700명대 이하로 준 것이다. 하지만 주말 영향으로 검사 건수가 2만 1868건으로 전날(4만 9393건)보다 절반 이하로 줄어든 것을 감안한다면 사실상 4차 팬데믹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적으로 소규모 집단감염이 이어지면서 지자체는 거리두기 단계를 조정했다. 최근 진주시·사천시·김해시를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경남도는 일부 시군의 거리두기를 2단계로 상향했다. 또 경남 전체 유흥시설 5289곳의 종사자와 운영자를 대상으로 전수 진단검사에도 나선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이날 “인구 10만명당 일평균 확진자가 1.5명이 넘는 사천과 김해, 진주의 거리두기를 2단계로 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5일간 12명의 확진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전남 목포시는 방역 대책을 강화했다. 목포시는 다음달 4일까지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1.5단계를 유지하면서 방역수칙을 강화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유흥시설·노래연습장·실내체육시설·식당 등이 오후 10시 이후 영업이 금지된다. 충북 옥천군은 전 직원을 대상으로 ‘금주령’과 ‘금족령’이라는 특단의 대책을 내놨다. 퇴근 후에는 외부에서 식사하거나 술자리를 가져서는 안 되고, 집 밖을 벗어나서도 안 된다. 경북 경산시는 26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1.5단계에서 2단계로 격상한다고 이날 밝혔다.

반면 경북도와 전북 익산시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했다. 특히 경북은 5인 이상 집합금지 빗장을 풀었다. 26일부터 일주일 동안 청도군·영덕군·울릉군 등 도내 인구 10만명 이하 12곳에 대해 5인 이상에서 9인 이상으로 늘려 사적모임 금지를 적용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거리두기 완화가 4차 유행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유행이 안정기로 접어들기 전에 섣부르게 (개편안 적용과 같은) 거리두기 ‘완화 신호’를 주는 것은 방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인구밀도가 낮은 경북 일부 지역을 시범 적용 대상으로 정한 것은 적절할 수도 있지만 시기적으로 봤을 때는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방역 당국은 이번 일주일(26일~5월 2일)을 특별방역관리주간으로 정하고 확진자 줄이기에 나섰다.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번 주는 확진자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드느냐, 늘어나느냐 방역의 분기점이 될 수 있는 엄중하고 중차대한 시기”라며 “이번 주를 특별방역관리주간으로 설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전국종합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21-04-26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