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동해안 4000㎞ 스케이트보드로 달리는 미친 사내

호주 동해안 4000㎞ 스케이트보드로 달리는 미친 사내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3-28 12:00
업데이트 2021-03-28 1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람들에게 계획을 털어놓으면 다들 그냥 놀래키려는 거구나 생각하는 것 같았어요. 미친 짓처럼 들리는 게 사실이지요.”

라오스에서 살다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때문에 호주로 돌아와 브로큰 힐에 살던 톰 듀리는 지난해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멜버른부터 케언즈까지 호주의 동쪽 해안을 따라 북상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무려 4000㎞ 거리인데 현재 9주째 달리고 있다고 영국 BBC가 28일전했다. 소셜미디어에서 ‘고디(Gordy)’란 별명으로 통하는 그는 “호주가 얼마나 큰지 예전에 미처 몰랐다”고 말했다.

그도 그럴 것이 영국 런던에서 러시아 모스크바까지보다 1000㎞를 더 달려야 하는 거리다. 하지만 파트타임 일도 따분해졌고, 무엇보다 모험이 하고 싶었다고 했다. 명분은 자신이 좋아하는 라오스에 최초의 스케이트 공원을 짓는 돈을 모금하겠다는 것으로 세웠다.

여름이 절정이라 무척 더워 햇볕을 가리면서 하루 9리터의 물을 챙겨야 한다. 과일 한 움큼, 두 끼 식사, 낙천적인 마음가짐, 육포 등을 지닌 채 달린다. 섭씨 35도에도 100㎞ 구간을 달리는데 쉴 곳이 없었던 적도 있었다고 했다. 엄청나게 큰 트럭들을 지나쳐야 하거나 언덕을 내려오다 맞은편 트럭에 치일 뻔하는 등 위험하기 짝이 없다. 지원하는 이 없이 혼자 달리니 절대 따라 해선 안될 일로 보인다. 발로 도로를 박차야 하기 때문에 2주마다 한 켤레씩 신발을 바꿔야 해 벌써 다섯 번째 신발을 신고 있다.

도로 사정이 좋지 않아 하루 50㎞를 그냥 걷기도 했다. 9주를 통계 냈더니 하루 평균 70㎞ 달려 이제 계획의 4분의 3을 주파했다. 솔직히 고디는 약간 후회하는 기색도 비쳤다. 도로만 쳐다보니 정신적으로도 피폐해지고 몸도 지쳐 계획을 세웠을 때의 자신감이 많이 물러진 것 같다고 했다.

그래도 가끔 주민들이 환호를 보내고 동행하는 낯선 이들과 어울리고 주민들이 물이나 음료수를 건네기도 하는 것이 활력소가 된다고 했다. 무모한 일 같은데 그는 “하루 목표를 채우고 나면 짜릿한 보상이 주어진다”면서 다른 이에게 권하고 싶다고 했다. 케언즈에 도착하면 뭘 할 것 같으냐는 질문에는 “떠들썩한 파티를 연 뒤 발마사지를 받지 않겠느냐”고 되물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