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 부동산투기 신고센터 개소…경실련 등 시민단체가 나섰다

공직자 부동산투기 신고센터 개소…경실련 등 시민단체가 나섰다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3-17 12:17
업데이트 2021-03-17 1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직자 부동산 투기 신고센터 개소 및 농지법 개정 방향 발표 기자회견’
‘공직자 부동산 투기 신고센터 개소 및 농지법 개정 방향 발표 기자회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전국농민회총연맹 등 사회단체 관계자들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공직자 부동산 투기 신고센터 개소 및 경자유전 원칙 확립을 위한 농지법 개정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2021.3.17
뉴스1
홈페이지·이메일·전화 등으로 제보 접수
지역·대상·시기 등 구체적 정황 밝혀야


“정부, 적극적 조사 의지 보이지 않아
…주말·체험영농 목적 농지취득 제한해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과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친환경농업인연합회,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등 4개 단체는 17일 ‘공직자 부동산 투기 신고센터’를 연다고 밝혔다.

신고센터는 이날부터 공직자와 그 친인척·지인의 부동산 투기에 관한 제보를 받는다. 공직자에는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등 선출직을 비롯해 법관, 검사, 경찰·소방공무원, 공기업 임직원 등 공적 업무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이 포함된다고 경실련은 설명했다.

제보는 경실련 홈페이지, 전화(02-766-5629), 이메일(singo@ccej.or.kr)로 접수받고 있다. 제보할 때에는 투기 지역과 대상, 시기 등 구체적 정황을 밝혀야 한다.

경실련은 신고 내용을 토대로 운영위원단이 조사를 벌여 구체적 투기 사실이 확인될 경우 고발 등 조치를 결정하고 제보자에게 최종 처리 결과를 통지한다.

경실련은 정부 합동조사단이 일부 공공기관 직원이나 3기 신도시 지역으로 조사 대상을 제한하는 등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지 않아 신고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여한 단체들은 형식적이고 간소화된 농지 취득 절차가 농지 투기를 부채질하고 있다며 농지법 전면 개정을 촉구했다.

농지를 취득하고 소유할 때 예외 없이 농업경영계획서를 제출해 그 계획을 의무적으로 이행하도록 하고, 주말·체험 영농을 목적으로 한 농지 취득 규정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농업회사법인이 기획부동산업체 등을 통해 부동산 투기의 수단으로 활용되지 않도록 법인 출자자 중 비농업인의 비율을 축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