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핵심은] “당신이 어떤 성취를 했든 학폭은 용서받지 못한다”

[핵심은] “당신이 어떤 성취를 했든 학폭은 용서받지 못한다”

곽혜진 기자
입력 2021-03-13 13:30
업데이트 2021-03-13 1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재영(왼쪽)·이다영(오른쪽·이상 흥국생명)이 지난달 21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2020~21 V리그 여자부 흥국생명과 GS칼텍스의 경기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영(왼쪽)·이다영(오른쪽·이상 흥국생명)이 지난달 21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2020~21 V리그 여자부 흥국생명과 GS칼텍스의 경기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프로배구 흥국생명 이재영·다영 쌍둥이 자매 선수를 계기로 시작된 학교폭력 폭로전이 스포츠계를 비롯해 연예계로까지 번졌습니다. 이에 연루된 수많은 스타가 하루아침에 활동을 중단했죠. 각자 대응 방식은 엇갈립니다. 침묵하거나 물러서거나 맞서 싸우거나.

이재영·다영 선수는 무기한 출전 정지에 국가대표 자격도 박탈된 상태입니다. 박혜수·지수 등 드라마의 주역으로 활약했던 배우들은 제작이 무산되거나 배역이 교체됐습니다. 배우 조병규·심은우 등은 의혹을 부인하며 피해자 측과 공방 중입니다.

이번 주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학폭 폭로전’이 우리 사회에 어떤 메시지를 던지는지 그 함의를 짚어보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25일 오후 서울 노원구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51회 회장배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 대회 남자 일반부 5,000m에 출전한 이승훈이 경기를 마친 뒤 숨을 고르고 있다. 2020.11.25 연합뉴스
25일 오후 서울 노원구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51회 회장배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 대회 남자 일반부 5,000m에 출전한 이승훈이 경기를 마친 뒤 숨을 고르고 있다. 2020.11.25 연합뉴스
▶ 핵심 ① 엘리트 육성에 매몰돼 괴물들 키워

흥국생명을 신호탄으로 송명근, 심경섭 선수 등 여타 배구 선수들에 대한 추가 폭로가 이어졌고, 이상열 KB손해보험 감독이 국가대표팀 코치 시절 박철우 선수를 폭행했다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사실 체육계에서 이러한 폭로가 나온 것은 처음이 아닙니다.

조금만 거슬러 올라가도 쏟아집니다. 2019년 스피드스케이팅 이승훈 선수가 후배를 폭행한 사실이 확인돼 1년간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습니다. 지난 1월에는 조재범 전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코치가 심석희 선수를 상대로 지속적인 성폭행과 강제추행을 저지른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국가인권위원회가 중·고등학교 선수 6만여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한 결과, 14.7%가 신체 폭력을 경험했다고 밝혔습니다. 피해자의 79.6%는 ‘신고할 엄두조차 낼 수 없었다’고 답했습니다. 유독 체육계에서 폭력이 비일비재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한국 특유의 엘리트 체육 문화를 지적합니다.

성과를 최우선시하는 집단 속에서 어린 선수들은 동료들과 성숙한 관계를 형성하는 법보다 경쟁에서 이기는 법을 먼저 배웁니다. 메달에 대한 압박감이 따돌림과 폭력으로 잘못 분출돼도 묵인되죠. 학교폭력을 끊임없이 양산하는 근본 원인입니다.
배우 지수 인스타그램 캡처
배우 지수 인스타그램 캡처
▶ 핵심 ② 학폭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엄중한 경고

학교폭력은 체육계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스포츠 선수나 연예인은 대중에 노출됐기에 더욱 도드라지는 것뿐입니다. 입시 경쟁에 내몰려 폭력을 폭력이라 인식하지도 못한 채 교실을 지옥으로 만드는 일은 지금도 교육 현장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폭로를 보면 대부분 오랜 시간이 지난 일들입니다. 학창 시절에 있었던 일을 성인이 되고 나서 뒤늦게 문제를 제기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피해자의 진술 외에 마땅한 증거도 없습니다. 때문에 진위를 가려내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허위 폭로일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반면 가해자로 한번 찍힌 낙인은 쉽게 지워지지 않습니다. 사실 여부를 떠나 이슈가 되면 수많은 기사가 생산되고, 사실관계를 따지기도 전에 마녀사냥의 표적이 됩니다. 그렇기에 무차별적으로 이뤄지는 폭로전을 마냥 옹호할 순 없습니다.

그럼에도 순기능은 명확합니다. 일련의 사태는 가해자가 그간 어떤 성취를 이루었든 누군가의 인생을 폭력으로 얼룩지게 했다면 모든 영광이 한순간에 사라질 수 있다는 걸 보여줬습니다.

우리 사회가 학교폭력을 더는 학창 시절의 실수 정도로 치부하지 않겠다는 경고의 메시지를 분명히 전달한 셈입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