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료 폭탄’ 현실로… ‘빅4’ 최고 19.6% 인상 확정

‘실손보험료 폭탄’ 현실로… ‘빅4’ 최고 19.6% 인상 확정

유대근 기자
입력 2021-03-08 20:52
업데이트 2021-03-09 0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 보험사들 “손실 크다” 보험료 올려
舊실손 삼성화재, 표준 롯데손보 ‘최대’
“고령 가입자 2~3배 뛴 고지서 받을 수도”

‘보험료 폭탄’을 우려하는 소비자들의 반발 속에 눈치를 보던 주요 보험사들이 올해 실손의료보험(실손보험) 인상률을 최고 19.6%로 확정했다.

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의원이 금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손해보험 주요 4사(삼성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DB손해보험)의 실손보험 인상률은 상품 유형에 따라 평균 11.9∼19.6%였다. 2009년 9월까지 팔린 ‘1세대’ 구실손보험이 각사 평균 17.5∼19.6%, 2017년 3월까지 팔린 표준화실손보험이 평균 11.9∼13.9% 각각 올랐다. 특히 삼성화재의 구실손보험료 인상률이 19.6%로 가장 높았다. 삼성화재 측은 “2019년 타사가 8~9% 인상할 때 우리는 오히려 인하해 최근 3년간 인상률은 우리가 더 낮다”고 밝혔다. 중소 보험사까지 따져 보면 롯데손해보험이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을 각각 평균 21.2%와 23.9% 올렸다.

또 생명보험 주요 3사(삼성·한화·교보생명)는 구실손보험을 평균 8.0∼18.5%, 표준화실손보험을 평균 9.8∼12.0% 각각 인상했다. 이 가운데 삼성생명의 구실손 인상률이 가장 높았다. 2017년 4월 이후 팔린 신실손보험은 생·손보사 모두 보험료를 동결했다.

올해 실손보험료 인상률은 최근 5년간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상반기 구실손과 표준화실손의 위험손해율이 각각 143%와 132%를 기록해 큰 적자가 났기 때문이다. 위험손해율이란 계약자가 낸 보험료에서 사업운영비를 뺀 ‘위험보험료’ 대비 보험금 지급액의 비율을 뜻한다. 고객들이 낸 돈보다 실손 의료비가 더 많이 지급돼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논리다.

하지만 가입자 입장에서는 큰 부담이다. 1, 2세대 실손보험은 3∼5년 갱신 주기가 돌아올 때마다 보험료가 실제 인상된다. 이 때문에 체감 인상률이 대체로 50%가 넘고 고령자는 이전보다 2∼3배가 오른 고지서를 받는 일도 흔하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의료 관리대책이 없다면 내년에도 갱신 보험료 ‘폭탄’ 논란이 재현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1-03-09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