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춰진 사건의 진실, 관객들도 함께 찾아보길”…영화 ‘빛과 철’ 배종대 감독

“감춰진 사건의 진실, 관객들도 함께 찾아보길”…영화 ‘빛과 철’ 배종대 감독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02-22 11:03
업데이트 2021-02-22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험 속 만든 영남과 희주...“염혜란, 김시은 조합 최고” 극찬도

영화 ‘빛과 철’ 배종대 감독. 필앤플랜 제공.
영화 ‘빛과 철’ 배종대 감독. 필앤플랜 제공.
“관객들이 몸을 의자에 기대지 않고 앞으로 당겨서 보길 바라면서 만들었습니다.”

코로나19로 극장 가기가 꺼려지는 요즘이다. 그러나 놓치면 아쉬운 영화들도 있다. 18일 개봉한 ‘빛과 철‘도 그 중 하나다. ‘고함’(2007), ‘모험’(2011) 등 단편영화를 연출하고, 2016년 크게 히트한 ‘곡성’ 연출부를 거친 배종대 감독 첫 장편이다. 그는 서울신문과 인터뷰에서 “원래 의도를 100% 표현했다”면서 자신감을 보였다.

영화는 교통사고로 남편을 잃은 두 여자가 만나 진실에 다가가는 내용이다. 가해자인 희주(김시은 분)의 남편은 죽었고, 피해자인 영남(염혜란 분)의 남편은 2년째 의식불명이다. 희주가 2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오고, 우연히 영남을 맞닥뜨린다. 그러면서 그동안 알고 있던 진실도 흔들리기 시작한다.

두 캐릭터는 배 감독의 경험에서 나왔다. 그는 부산 보훈병원에서 공익요원으로 근무할 때, 수십 년간 누워 있는 환자들과 병간호하는 이들을 보며 영남이란 인물을 생각했다. 희주는 어렸을 적 부산 사상공단에서 봤던 노동자들에게서 나온 캐릭터다.

“영남 역의 염혜란 배우는 예전에 드라마 ‘라이프’를 보다가 극과 극을 오가는 모습을 보고 ‘이 사람이다’ 싶어 출연을 제안했습니다. 이번에도 최고의 연기를 보여줬지요. 30대 초반 여성인 희주 역을 맡을 배우를 찾으려 거의 한 달 넘게 드라마, 영화 등 수많은 영상을 뒤졌어요. 그러다가 여러 독립영화에서 조연과 단역으로 활동하는 김시은 배우를 봤는데, ‘이 배우가 아직 못 보여준 게 많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두 배우의 조합은 그야말로 적절했다고 생각합니다.”

영화 제목인 ‘빛과 철’에서 ‘빛’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철’은 자동차의 재질을 가리킨다. 두 인물은 그동안 가려졌던 진실(빛)을 찾아 사고(철)의 뒤를 쫓는다.
영화 ‘빛과 철’ 스틸컷. 필앤플랜 제공.
영화 ‘빛과 철’ 스틸컷. 필앤플랜 제공.
“운전할 때 고라니가 산길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고라니 피하다 죽으면 우리 가족은 내가 왜 죽었는지 알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당시 블랙박스가 보편화하지 않았을 때에요. 근처에 폐쇄회로(CC)TV도 없었다면 진실을 알기 어렵겠죠. 유족들이 죽음의 이유를 찾으려 노력하는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었습니다.”

사건이 얽히기 시작하는 건 희주 주위를 맴돌던 영남의 딸 은영(박지후 분)때문이다. 은영은 희주에게 사건의 진실을 바꿀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다. 사건을 푸는 열쇠처럼 보이지만, 오히려 사건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 영화 포스터에 은영 역할의 박지후 배우가 나란히 얼굴을 올린 이유다.

“2018년 부산국제영화제 때 아는 동생이 ‘형, 천재 배우가 나타났어. 빨리 와서 영화 봐야 해’ 하더군요. 그날 바로 KTX를 타고 내려가 본 영화가 김보라 감독의 ‘벌새‘였습니다. 영화를 보고 박지후 배우의 팬이 됐어요. 그리고 초조해졌습니다. ‘이 친구가 유명해지면 섭외가 어렵겠다’ 싶어 바로 출연을 제안했습니다.”

인물들의 갈등이 극단으로 치닫지만, 사건의 진실은 시원하게 풀리질 않는다. 그야말로 ‘고구마를 계속 먹는’ 느낌이 끝까지 이어지는데, 이게 영화의 묘미고 재미다.

“희주와 영남이 사건의 진실을 찾아가는 데에 관객들도 동참하길 원했습니다. 자극적으로 사건을 보여주기보다 관객이 예상하지 못했던 정보를 조금씩 풀면서 함께 한 발짝씩 다가가는 그런 영화를 만들고 싶었어요.”

배 감독은 “코로나19탓에 극장에 오라고 말하기도 다소 어렵다”면서도 “배우들의 연기를 보면서 촬영하는 내내 행복했다. 관객 분들도 이들의 연기를 스크린에서 확인해줬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