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 매장수는 줄어도…중국 덕에 ‘유니클로’ 시총 세계 1위

한국 매장수는 줄어도…중국 덕에 ‘유니클로’ 시총 세계 1위

김규환 기자
입력 2021-02-17 15:36
업데이트 2021-02-17 16: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코로나19 여파에 따라 재택근무가 확산하며  평상복의 수요가 증가한데 힘입어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일본 패스트리테일링이 세계 의류업계 시가총액에서 ‘자라’(ZARA) 브랜드를 보유한 스페인 기업 인디텍스를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랐다. 사진은 중국 베이징의 유니클로 매장. AFP 연합뉴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코로나19 여파에 따라 재택근무가 확산하며 평상복의 수요가 증가한데 힘입어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일본 패스트리테일링이 세계 의류업계 시가총액에서 ‘자라’(ZARA) 브랜드를 보유한 스페인 기업 인디텍스를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랐다. 사진은 중국 베이징의 유니클로 매장. AFP 연합뉴스
패션브랜드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일본 패스트리테일링이 세계 의류업계 시가총액에서 ‘자라’(ZARA) 브랜드를 보유한 스페인 기업 인디텍스를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랐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코로나19 여파로 재택근무가 확산하며 패스트리테일링 강점인 평상복의 수요가 증가한 까닭이다. 불매운동 여파로 한국의 유니클로 매장이 잇따라 폐점하는 모습과는 대비된다.

17일 닛케이아시아 등에 따르면 도쿄 증시에 상장된 패스트리테일링의 주가는 전날보다 3.06% 오른 10만 2500엔으로 거래를 마치며 창사 이후 처음으로 10만엔대에 올라섰다. 이에 따라 패스트리테일링의 시총은 10조 8725억엔(약 114조원)으로 확대되면서 유럽 증시에 상장된 인디텍스(15일 종가 817억 유로·10조 4600억엔)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패스트리테일링의 가장 큰 호재는 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인한 세계적인 재택근무 열풍이다. 고가의 외출복 시장은 고전을 면치 못한 반면, 평상복과 실내복을 강점으로 하는 유니클로의 수요는 견고하게 유지된 덕분이다.

중화권 공략도 주효했다. 전세계 유니클로 매장 2298곳(지난해 11월 기준)가운데 60%가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 집중된 것도 약진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코로나 충격에서 가장 빨리 회복한 중국 내 매장은 791곳이나 된다. 일본(815개)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지난해 8월 기준 중국과 홍콩, 대만 등 중화권 시장의 영업이익률은 14.4%로 일본(13%)을 웃돌 정도로 시장성이 높다. 닛케이는 “코로나19가 억제되고 있는 중국 등 아시아지역에서의 성장에 따른 수익성 개선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특히 온라인 판매 활성화, 미국 구글 등과 협업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생산 체제 등도 성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니클로는 2016년부터 ‘정보 제조 소매업’을 내걸고 모든 제품에 IC 태그를 부착해 오프라인 점포와 인터넷 쇼핑몰에서 인기를 끈 상품 데이터를 분석해 마케팅 전략에 활용하고 있다. 또 미국 구글 등과 협업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생산 체제도 갖췄다.

반면 자라는 대규모 도시 봉쇄 등으로 점포 휴업이 잇따른 유럽과 미주 지역에 매장의 70%를 두고 있는 탓에 전체적인 수익성 측면에서 고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시아 매장은 20% 이하에 불과하다.

유니클로의 패스트리테일링이 시총 1위 의류회사로 발돋움했지만 매출 등 수익면에서는 자라의 인디텍스를 따라잡기에는 아직 역부족이다. 패스트리테일링의 매출 규모는 세계 3위 수준이다. 최근 결산 매출에 따르면 인디텍스의 전년도 매출은 올해 1월 기준 282억 유로(약 37조 7500억원), 스웨덴의 H&M 매출은 지난해 11월 기준 1870억 크로네(약 24조 4400억원), 패스트리테일링 매출은 지난해 8월 기준 2조엔(약 20조 8900억원)이다.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했는지를 나타내는 자기자본이익률(ROE)도 지난해 8월 기준 패스트리테일링은 9%로 24%인 인디텍스와 큰 차이를 보였다. 재고회전율 역시 패스트리테일링이 1.5회전으로 인디텍스는 2.0회전을 밑돈다.

향후 세계 최대 의류회사 경쟁은 온라인판매 실적에서 판가름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패스트리테일링의 매출에서 온라인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15.6%로 1년새 4.3%포인트 늘었다. 인디텍스의 온라인 매출 비중은 14%로 패스트리테일링에 역전을 허용했지만 2022년까지 25%로 높일 계획이다. 가자하야 다카히로 크레디트스위스증권 애널리스트는 “아시아 지역 기반을 고려하면 중장기 성장력은 패스트리테일링이 우위”라면서도 “인디텍스도 중국 매장을 467곳으로 늘리고 있어 아시아 시장에서 얼마나 성장하는지가 승부를 가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