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공무원의 역사의식/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공무원의 역사의식/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21-02-14 17:04
업데이트 2021-02-15 0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화 ‘남한산성’에서 배우 김윤석이 연기한 김상헌(1570~1652)은 지조의 상징이다. 병자호란으로 인조가 남한산성에 피신하자 함께 들어가 청나라와의 항전을 주장했다. 하지만 ‘화친파’ 최명길의 주장이 먹히자 그가 작성한 항복문서를 찢고는 통곡했다. 스스로 목을 맸지만 주위 사람들에 의해 가까스로 목숨을 구했을 정도다. 청나라에 찍힌 그는 1640년(인조 18년) 11월에 중국 선양으로 압송돼 4년 3개월 만에야 귀국할 수 있었다. 이후 좌의정에 제수됐지만 무려 32번이나 사양했다. 그의 기개는 후손들에게 이어져 조선 선비를 대표하는 인물로 손꼽히고 있다.

김상헌이 지낸 곳이 경기 남양주시 지금동의 석실(石室)서원이다. 서원은 조선 후기 유학자들의 사상적 기반을 마련하고 권력의 중심 역할을 했던 곳이다. 하지만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져 지금은 과거 석실서원 터였음을 알리는 화강암 비가 세워져 있다. 그런데 이마저 최근 표석 앞 카페 신축공사로 주변이 마구 파헤쳐져 있다. 이렇게 중요한 사적지 앞에 카페 허가를 내준 남양주시 공무원들의 역사의식에 탄식이 절로 나온다. 올곧은 조상의 기개마저 제대로 지켜 주지 못하는 죄스러움에 차마 고개를 들 수가 없다.

jrlee@seoul.co.kr
2021-02-15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