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안철수 46.6%, 서울시장 단일후보되면 박영선 이긴다”

“안철수 46.6%, 서울시장 단일후보되면 박영선 이긴다”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1-02-08 17:11
업데이트 2021-02-08 17: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엠브레인 여론조사 결과

‘국정운영 견제 위해 야당에 투표’ 54.1%
박영선, 나경원·오세훈에는 승리

박영선 43.1% vs 나경원 36.1%
박영선 42.3% vs 오세훈 39.3%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vs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vs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서울신문·연합뉴스
4·7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야권 단일후보로 나서면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이긴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8일 나왔다. 조사에서는 국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에 투표하겠다는 응답보다 ‘견제’하기 위해 야당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과반을 넘겼다. 다만 야권 후보 단일화에 실패할 경우에는 박영선 후보가 모든 후보에 유리한 것으로 집계됐다.

“야권 단일화 실패시 박영선 모두 우세”
박영선>안철수>오세훈·나경원 순

엠브레인이 문화일보 의뢰로 지난 5∼6일 18세 이상 서울시민 8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양자 대결에서 안 대표는 46.6%, 박 후보는 37.7%의 지지율을 각각 나타냈다. 이는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46%포인트) 밖 격차다.

박 후보는 국민의힘 나경원, 오세훈 후보에 대해서는 43.1%대 36.1%, 42.3%대 39.3%로 각각 앞섰다.

야권에서 후보 단일화에 실패해 ‘3자 구도’가 형성될 경우에는 박 후보가 모두 경우의 수에서 안 대표에 다소 우세한 것으로 나왔다.

국민의힘 주자로 나경원 후보가 나서는 경우 박 후보 34.1%, 안 대표 30.6%, 나 후보 18.5%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오세훈 후보가 국민의힘 후보로 나서는 경우에도 박 후보 33.4%, 안 대표 30.6%, 오 후보 19.8%로 집계됐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나경원 국민의힘 전 의원, 오세훈 전 서울시장(왼쪽부터)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나경원 국민의힘 전 의원, 오세훈 전 서울시장(왼쪽부터)
“야권 단일화 안 될 것” 48.2% 우세
야권 후보단일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단일화가 안 될 것’이라는 응답이 48.2%로, ‘단일화가 될 것’(41.8%)이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전체 여야 구도를 보면 ‘국정운영 견제를 위해 야당에 투표’라는 응답(54.1%)이 ‘국정운영 지원을 위해 여당에 투표’(35.5%)보다 많았다.

한국일보·한국리서치 양자대결 조사
안철수 46.0% vs 박영선 39.2%

한편, 한국일보·한국리서치가 4∼6일 진행한 양자대결 여론조사에서는 안 대표가 46.0%, 박 후보가 39.2%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박 후보와 나 후보는 40.8%대 41.8%, 박 후보와 오세훈 후보는 41.1%대 41.3%로 초박빙 양상을 보였다.

이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5%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고하면 된다.
이미지 확대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열린 서울시장 출마 선언을 마친 뒤 화상으로 참석한 시민들에게 손가락 하트를 만들어 보이고 있다. 2021. 1. 26  국회사진기자단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열린 서울시장 출마 선언을 마친 뒤 화상으로 참석한 시민들에게 손가락 하트를 만들어 보이고 있다. 2021. 1. 26
국회사진기자단
나경원 국민의힘 후보 vs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나경원 국민의힘 후보 vs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나경원 캠프 제공·연합뉴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