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최후의 국어사전 편찬자 안상순

[이경우의 언파만파] 최후의 국어사전 편찬자 안상순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1-17 19:40
업데이트 2021-01-18 01: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왠지? 웬지? 지금은 ‘왠지’로 정리됐지만, 1991년 ‘금성판 국어대사전’이 나오기 전까지는 ‘왠지’와 ‘웬지’가 섞이며 쓰이고 있었다. ‘왠지가 옳다’, ‘아니다. 웬지가 맞다’며 서로 우기는 일을 적잖게 볼 수 있었다. 국어 교과서에 ‘웬지’가 오르기도 했다. 그렇지만 어떤 국어사전도 ‘왠지’를 표제어로 삼은 곳은 없었다. ‘왠지’는 하나의 단어가 아니라 구(句)처럼 보였다. 이렇게 보는 사전 편찬자의 눈으로는 표제어로 올리기 어려웠다. 이미 한 단어가 된 현실을 사전 편찬자들이 잡아내지 못한 것일 수도 있었다. 흔하게 쓰이는 단어였지만 표기는 한동안 혼란스러웠다. 지금은 모든 국어사전들에 ‘왠지’가 실렸다.

‘금성판 국어대사전’의 편찬 실무 책임을 맡은 안상순은 한 언어 공동체에서 쓰이는 단어는 가능하면 모두 사전에 올리는 게 좋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유행어든 욕설이든 사투리든 국어사전이 폭넓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여겼다. 그것이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섬세하고 정직하게 담아내는 게 사전 편찬자들의 몫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표준어 규범이 너무 강력하게 작용하는 걸 경계했다. 표준어는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말로 받아들이고, 방언은 지역적인 제한이 있는 말 정도로 받아들이면 된다는 것이었다. 그는 비표준어라는 개념도 사전에서 빼 버리고 싶어 했다.

그는 2006년 ‘얼짱’을 두고 오간 논쟁에서 당연히 ‘얼짱’이 국어사전에 실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대쪽에선 기존 조어법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고 했다. 그는 ‘얼짱’을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지는 학자들의 몫이라고 했다. 학문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고 엉터리 취급하는 건 현실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봤다. 국어사전은 언어 현실을 생생히 비추는 거울이어야 하는데, 지나치게 규범의 잣대를 들이대는 순간 생생함을 기대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이었다.

안상순은 기존 국어사전들의 한계를 극복하려 했다. ‘좌우하다’를 ‘좌지우지하다’의 준말로 본 기존 사전들에 동의할 수 없었다. 분명 의미가 다른데, 이전 사전들은 이 말들을 동의어로 보고 있었다. 정확한 말, 이를 바탕으로 한 오해 없는 소통의 바탕을 마련하는 일을 그는 너무도 즐거워했다. 30여년간 국어사전 만들기에만 몰두했다. 그로 인해 국어사전이 한 걸음 나아갔다. 보이지 않게 우리의 언어생활이 또 나아졌다. 그가 지난 15일 66세로 세상을 등졌다. 또 다른 사전을 만들고 있었다. 그의 뒤를 이어 국어사전을 만드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wlee@seoul.co.kr
2021-01-18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