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비의 ‘깡’ 열풍 활용… 다른 깡 스낵도 매출 상승

가수 비의 ‘깡’ 열풍 활용… 다른 깡 스낵도 매출 상승

입력 2020-12-28 17:20
업데이트 2020-12-29 09: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0 하반기 히트상품] 농심 ‘새우깡’

새우깡은 이달 초까지 지난해보다 약 12% 성장한 매출 810억 원을 달성했다. 새우깡을 포함한 농심의 깡 스낵 5종의 연간 누적 매출액은 1000억 원을 돌파했다.

농심은 새우깡의 성장 배경에 대해 트렌드에 발맞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주효했다고 평가한다. 지난 5월 가수 비의 ‘깡’ 열풍과 함께 새우깡이 ‘밈(meme)’의 대상으로 등극하자 농심은 비를 광고 모델로 섭외하며 깡 열풍에 합류했다. 특히 하나의 놀이문화로 자리 잡은 깡 이슈를 활용해 소비자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대국민 챌린지를 개최하고 선정작과 비가 함께하는 광고를 선보였다. 또한 젊은 소비자 눈높이에 맞춰 패키지 디자인을 적용하는 브랜드 리뉴얼도 했다.

새우깡이 전국적으로 이슈가 되며 감자깡과 양파깡, 고구마깡 등 다른 깡 스낵으로 수요가 번졌다. 그 결과 지난 7월에는 깡 스낵 4종의 한 달 매출액이 처음으로 100억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농심 관계자는 “새우깡에서 깡 스낵으로 번진 깡 열풍은 연말까지 식지 않고 있다”며 “깡 스낵 특유의 친근하고 중독적인 맛이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아 깡 열풍이 반짝인기에 그치지 않고 계속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깡 스낵은 우리가 일상에서 즐겨 먹는 새우와 감자, 고구마, 양파를 소재로 만들었다.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원물의 맛을 재현했다.

김태곤 객원기자 kim@seoul.co.kr

2020-12-29 3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