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연말 대목’ 맞은 통신3사 지원금 전쟁…정부는 불법보조금 감시 강화

‘연말 대목’ 맞은 통신3사 지원금 전쟁…정부는 불법보조금 감시 강화

한재희 기자
입력 2020-12-25 12:15
업데이트 2020-12-25 12: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피겨여왕 김연아가 13일 오전 서울 성동구 비트플렉스 야외주차장에서 열린 SK텔레콤의 ‘갤럭시 노트20 5G 드라이브스루’ 행사에 참석해 제품을 들어보이고 있다.2020.8.13 뉴스1
피겨여왕 김연아가 13일 오전 서울 성동구 비트플렉스 야외주차장에서 열린 SK텔레콤의 ‘갤럭시 노트20 5G 드라이브스루’ 행사에 참석해 제품을 들어보이고 있다.2020.8.13
뉴스1
연말 대목을 맞이해 통신사들이 공시지원금을 대폭 올려가며 가입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크리스마스나 연말·연초에는 서로 선물을 주고 받는 등 소비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통신 3사가 이를 놓치지 않기 위해 총성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최근까지 최대 60만원이던 갤럭시S20울트라의 공시지원금을 최대 70만원으로 올렸다. LG유플러스도 갤럭시노트20울트라의 공시지원금을 최대 65만까지 상향했다. SK텔레콤도 갤럭시S20울트라의 공시지원금을 최대 58만원까지 올렸다.

애플은 공시지원금이 짜다고 소문이 났지만 이달초 수학능력시험이 끝난 뒤 수험생을 겨냥해 아이폰12 미니의 통신3사 공시지원금을 최대 40만원대까지 올랐다. 아이폰12 미니 물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인 데다가 학생층은 아주 고성능의 스마트폰보다는 작고 예쁜 기기를 선호한다는 점을 공략했다. 더불어 LG유플러스는 지난 19일 아이폰12 일반 모델의 공시지원금을 최대 43만원으로 올렸고, SK텔레콤은 이달초 42만원까지 상향했다.
KT의 ‘갤럭시S20플러스 아우라 레드’ 광고. 유튜브에 공개한 지 하루 만에 200만뷰를 돌파하며 반응이 뜨겁다. 제일기획 제공
KT의 ‘갤럭시S20플러스 아우라 레드’ 광고. 유튜브에 공개한 지 하루 만에 200만뷰를 돌파하며 반응이 뜨겁다.
제일기획 제공
다만 아이폰12 시리즈는 높은 기기 가격에 대비해 공시지원금이 많지는 않은 편이어서 자급제폰으로 제품을 산 뒤 알뜰폰을 통해 개통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알뜰폰을 의식해 이례적으로 공시지원금을 높이긴 했지만 그래도 ‘자급제+알뜰폰’을 선택하는 아이폰 사용자들의 기세를 누그러트리지는 못한 듯하다”고 말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삼성전자의 중저가폰인 갤럭시A51의 공시지원금을 최대 45만원으로 인상했다. LG전자의 ‘윙’의 공시지원금은 60만원, ‘벨벳’은 78만 3000원까지 올린 바 있다. LG유플러스와 KT는 갤럭시S20플러스 BTS 에디션의 공시지원금을 최대 60만원으로 상향했다.

소비자들은 스마트폰을 살 때 공시지원금이나 선택약정(25% 요금할인) 중에 하나를 택할 수 있다. 만약 공시지원금이 적다면 선택약정을 택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공지원금이 높을 때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느 쪽이 더 유리한 것인지 따져보고 사야 손해를 보지 않는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시 S20’ 시리즈의 예약자 개통을 시작한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제공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시 S20’ 시리즈의 예약자 개통을 시작한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제공
최근 스마트폰의 출고가가 일제히 내린 데다가 공시지원금 경쟁까지 불붙자 일부 판매자들의 불법보조금 살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연말·연초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시장 교란을 막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날 단말기유통법 위반 행위 신고를 좀더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를 개편했다고 밝혔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