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정부 대책 허점이 낳은 요양병원 집단 사망

[사설] 정부 대책 허점이 낳은 요양병원 집단 사망

입력 2020-12-24 23:04
업데이트 2020-12-25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일집단 격리 노년층 22명 ‘떼죽음’
병상·의료진·백신 발상의 전환 해야

코로나19 확진에 따른 동일집단 격리가 이루어진 경기 부천시 상동의 한 요양병원에서 지난 12일 첫 사망자가 발생한 이래 그제 0시까지 모두 22명이 사망했다. 특히 지난 18일부터 닷새 사이에 18명이 숨졌는데 5명은 병상 배정을 기다리던 확진자였다. 이 병원은 누적 확진자가 140명이 넘는 상황에서 여전히 수십명이 전담 병원의 병상 배정을 기다리고 있다. 어르신들에게 송구하지만 ‘떼죽음’이 아니고는 표현할 길이 없다. 이쯤이면 ‘병원’이라는 이름만 붙었을 뿐 의료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상황이 이 지경에 이른 책임은 코로나19 대책을 총괄하는 정부에 있다.

기저질환자와 고연령층은 코로나19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밀폐·밀접·밀집이 코로나19의 감염위험을 높이는 3대 요소라는 경고도 수없이 들었다. 요양병원 입원자는 대부분 기저질환이 있는 고연령층이다. 동일집단 격리는 외부 감염 위험을 차단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내부에 확진자가 있다면 밀폐·밀접·밀집 환경을 더욱 악화시킬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 2~3월 코로나19 ‘1차 대유행’ 초기 청도대남병원 사례에서 일찌감치 확인됐다. 그럼에도 12월 들어 부천은 물론 전남 화순과 충북 괴산 및 진천 병원에 이르기까지 비슷한 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다.

부천 요양병원 사례를 들여다보면 정부 대책의 허점이 어디 있는지 그대로 드러난다. ‘K방역’에 대한 자신감만 넘쳤지 우려했던 ‘만에 하나’가 현실이 되자 병상은 턱없이 부족하고 가까스로 병상을 만들면 이번에는 의료진이 없다. 요양병원 동일집단 격리의 문제점을 정부도 모르지 않았지만, 병상이 없는 상황에서는 방법이 없었다. 백신 문제도 그렇다. 백신 수급의 속도보다 안전성이 중요하다는 논리가 완전히 틀렸다고 비판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고도 아무런 치료를 받지 못한 채 하늘만 쳐다보고 있는 어르신에게도 여전히 신속한 백신 접종보다 안전성이 최우선이라고 강변할 수 있는지 정부의 방역 관계자에게 되묻지 않을 수 없다.

부천 요양병원에서 코로나19 확진 이후 숨진 사람은 모두 70대 이상 노년층이다. 그럴수록 정부는 요양병원 환자들을 살리면 국민 모두를 살릴 수 있다는 자세로 방역에 나서야 한다. 아스트라제네카에 이어 화이자·얀센과도 백신 구매 계약을 체결한 정부의 노력이 그 첫걸음이 되기 바란다. 20명이 넘는 집단 사망 사건이 일어났는데도 흔한 논평 한 줄 없이 침묵을 지키는 정치권에는 반성을 촉구한다. ‘표’에 그다지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한 결과라면 씁쓸한 일이다.

2020-12-2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