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서 자취 감춘 일본산 자리 대만산이 대체

편의점서 자취 감춘 일본산 자리 대만산이 대체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0-12-24 17:22
업데이트 2020-12-25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S25 올해 일본 상품 수입액 53억→‘0원’
수입 대상국 4→24개국으로 늘어 다변화
대만산 직수입 92억… ‘흑당 밀크티’ 인기
칠레 대왕오징어 튀김 조리식 매출 2위에

이미지 확대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GS25 편의점에서 모델들이 대만에서 들여온 흑당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GS리테일 제공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GS25 편의점에서 모델들이 대만에서 들여온 흑당 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GS리테일 제공
편의점 수입상품을 주름잡던 일본산 상품이 불매운동 직격탄을 맞으며 최근 자취를 감췄다. 그 자리를 비집고 들어간 것은 흑당 밀크티(대만), 대왕오징어(칠레) 등 세계 각국에서 들여온 제품들이다.

24일 GS리테일에 따르면 편의점 GS25의 올해 일본 상품 수입액은 ‘0원’이다. 하나도 수입하지 않은 것이다. 2018년만 해도 일본의 직수입 상품액 규모가 53억원으로 여느 국가 가운데 가장 컸지만, 일본산 불매운동 확산으로 2년 만에 비중이 대폭 줄어들었다.

오히려 이런 변화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됐다. 일본에 편중됐던 수입 제품의 다변화를 꾀할 수 있어서다. 실제로 2018년 일본 등 4개국에 불과했던 수입 대상국은 올해 24개국으로 늘었다.

눈에 띄게 비중이 커진 곳은 대만이다. GS25가 올해 대만에서 직수입한 상품액은 92억원에 이른다. 불과 2년 전만 해도 대만에서 수입한 제품이 하나도 없던 것을 감안하면 큰 변화다. 젊은층에서 인기를 끌었던 ‘흑당 밀크티’로 유명한 대만 ‘타이거슈가’와 손잡고 선보인 제품들이 수요를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부터 GS25는 신제품 ‘타이거슈가 흑당버블아이스바’를 독점으로 선보인다고 밝혔다.

가까운 나라에서 생산한 완제품만 수입하던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전을 하기도 했다. 칠레에서 많이 잡히는 대왕오징어 식자재를 직접 들여온 것이다. GS리테일은 수입한 대왕오징어를 가공해 튀김을 만들어 유통하기로 결정했다. 상품명은 ‘대박크징어’로, 출시된 지 3개월 만에 치킨에 이어 편의점 내 조리식 매출 2위에 오르기도 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코로나19로 해외 여행과 맛집 방문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면서 “이런 시기에 다양하고 맛있는 해외 유명 먹거리를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12-25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