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연속 장애인 고용 나몰라라…진에어·교보증권 등 86곳 명단 공표

10년 연속 장애인 고용 나몰라라…진에어·교보증권 등 86곳 명단 공표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12-17 17:17
업데이트 2020-12-17 1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어차피 시각장애인은 글을 읽지 못하니 상관없다는 심보일까…. 서울 송파구의 한 인도에 시각장애인을 위해 설치된 점자블록 지킴이선이 전동킥보드와 자전거에 점령당해 무용지물이 돼 버렸다. 되레 장애인들에게 세상은 원래 이런 거라는 이해를 구해야 할 처지다. 약자를 배려하는 사람이 조금이라도 많아지길 바란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어차피 시각장애인은 글을 읽지 못하니 상관없다는 심보일까…. 서울 송파구의 한 인도에 시각장애인을 위해 설치된 점자블록 지킴이선이 전동킥보드와 자전거에 점령당해 무용지물이 돼 버렸다. 되레 장애인들에게 세상은 원래 이런 거라는 이해를 구해야 할 처지다. 약자를 배려하는 사람이 조금이라도 많아지길 바란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진에어, 교보증권, 코오롱글로벌, 에이치디씨 아이콘트롤스, 한국전기연구원과 국방기술품질원…

정부가 장애인을 고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도 하지 않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실명을 공개했다. 고용노동부는 장애인 고용률이 일정 기준에 못 미쳐 경고를 받았는데도 장애인 고용 노력을 기울이지 않은 공공기관 13곳과 민간기업 446곳의 명단을 공표했다고 17일 밝혔다.

고용부는 장애인고용촉진법에 따라 장애인 고용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기관의 명단을 해마다 발표하고 있다. 공공기관은 전 직원 중 장애인 비율이 2.72%미만, 민간기업은 1.55%미만이면 명단에 포함된다.

공공기관 가운데 한국전기연구원과 국방기술품질원은 무려 6년 연속 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국방기술품질원의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은 1.03%로, 의무 고용률을 지키지 못한 기관에 부과하는 고용부담금을 무려 3억 2000만원이나 납부했다. 같은 기간 한국전기연구원의 장애인 고용률은 1.11%, 납부한 고용부담금은 1억 7000만원이다.

반면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과 한국재정정보원은 장애인 맞춤형 직무분석으로 장애인고용률을 끌어올렸다. ‘연구기관에 장애인을 고용할 만한 직무를 만들기 어렵다’는 고정관념을 깬 사례다. 한국재정정보원은 장애인 고용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업무 등에 중증장애인 4명을 채용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수년간 장애인 직원이 한 명도 없었지만 경기도와 대대적으로 장애인 통합고용 체계를 구축하고 직무분석을 해 장애인 5명을 우선 채용했다.

명단이 공표된 민간기업 중 자산 총액 10조원 이상 대기업 집단에 속하는 기업은 29곳이다. 진에어, 교보증권, 코오롱글로벌, 에이치디씨 아이콘트롤스 등 86곳은 10년 연속 공표대상에 포함됐다. 일양약품과 와이비엠은 장애인 고용기준에 못 미쳐 올해 5월 명단 공개를 예고받았지만, 이후 장애인 고용을 대폭 늘려 명단 공개에서 제외됐다.

송홍석 고용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명단에 포함된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에 대해 “장애인 고용에 대한 의지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명이 결여됐다고 밖에 볼 수 없어 아쉽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