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해상 유조선 폭발 “폭발물 실은 선박이 공격”

사우디 해상 유조선 폭발 “폭발물 실은 선박이 공격”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2-14 17:17
업데이트 2020-12-15 04: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4일(이하 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의 앞바다 선상에서 폭발 화재가 발생한 싱가포르 선적 유조선 BW 라인 호의 날짜 미상 항공 촬영 사진. 항공촬영 전문 SG 제공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14일(이하 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의 앞바다 선상에서 폭발 화재가 발생한 싱가포르 선적 유조선 BW 라인 호의 날짜 미상 항공 촬영 사진.
항공촬영 전문 SG 제공 AP 자료사진 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14일(이하 현지시간) 남서부 홍해 연안 제다 항구 앞바다에서 선상 폭발 화재는 항구에서 폭발물을 실은 선박에 의해 공격 받아 일어난 일이라고 발표했다. 앞서 선주사는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만 밝혔다.

 사우디 에너지부는 이날 “오늘 새벽 제다의 연료 터미널에 정박한 유조선 한 척이 폭발물을 실은 선박에 의해 공격을 받았다”고 밝혔다고 사우디 국영 SPA 통신이 전했다. 에너지부는 “그 공격으로 작은 화재가 발생한 뒤 성공적으로 진화됐다”며 “사상자나 하역시설 피해가 없고 원유 공급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누가 이런 공격을 일으켰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이날 폭발 화재가 일어난 유조선 ‘BW 라인’의 선사인 하프니아는 “외부 충격으로 폭발이 발생했고 뒤이어 선상에 화재가 일어났다”고 밝혔다. 다행히 22명의 승선원들이 모두 선상에 일어난 화재를 진화했고 아무도 다치지도 않았다고 선사는 밝혔다. 또 원유가 유출되지 않아 화재가 일어나기 전과 후 변화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의 유조선에는 6만~8만t의 원유를 적재할 수 있는데 제다 출항 당시 86% 정도만 적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우디아라비아 해상에서 한달 새 유조선과 원유 관련 시설이 공격당한 일은 벌써 네 번째다. 지난달 예멘 후티 반군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기뢰 공격으로 사우디 남부 슈카이크 항만에 정박 중이던 그리스 선적 유조선 폭발 사고가 일어났고 이달 초에도 예멘의 동쪽 항구도시 인근 해역에서도 화물선을 대상으로 한 공격이 발생했다.

 2015년 예멘에서 내전이 본격적으로 발발한 뒤 이란 정부가 지원하는 후티 반군은 사우디 정부가 이끄는 아랍동맹군의 지원을 받는 예멘 정부와 전투를 벌이고 있다. 반군은 계속 점령지를 늘려 북부의 조금 더 많은 곳을 장악하고 있다.

 영국 해군이 운영하는 해사무역기구(UKMTO)는 사고가 발생한 해역 근처 선박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한편 원인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해상 안전위험 관리회사인 드라이어드 글로벌은 만일 이번 공격이 후티 반군의 소행이라면 “공격 능력과 범위에 있어서 큰 변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이어 홍해는 유조선과 화물선이 지나는 주요 항로로 이곳의 기뢰는 사우디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큰 위험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유엔의 예멘 내전 조사위원회에 따르면 앞서 1984년에 19척의 선박이 홍해 해상에서 기뢰와 충돌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