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급→3등급 원하는 대학 못가게 됐어요”…일찍 ‘수능 종료종’ 논란

“1등급→3등급 원하는 대학 못가게 됐어요”…일찍 ‘수능 종료종’ 논란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0-12-09 16:59
업데이트 2020-12-09 17: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코로나19가 바꿔 놓은 대입 전략 설명회
코로나19가 바꿔 놓은 대입 전략 설명회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가 대입 전략 설명회의 풍경도 바꿔놨다. 2021학년도 수학능력시험(수능) 다음 날은 4일 오후 서울 종로학원 강남 본원에서 온라인 생중계 방식으로 열린 2021 대입 전략 설명회(위)에서 참석자들이 감염 방지를 위한 마스크와 장갑을 끼고 거리를 두고 앉아 있다.
지난해 2020학년도 수능 시험이 끝난 뒤 다음 날인 2020년 11월 15일에 같은 학원에서 세종대에서 주최한 설명회(아래)에서는 수많은 참석자가 현장에 앉아 대입 전략 강의를 듣고 있다. 2020.12.4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덕원여고 ‘일찍 수능 종료종’ 후폭풍
서울 강서구 덕원여고에서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4교시 탐구영역 시험 종료를 알리는 종(종료령)이 예정된 시각보다 빨리 울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학교에서 시험을 치른 수험생이 재발 방지와 진정성 있는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수험생 A씨는 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메뉴얼을 수정하고 분명히 누군가는 책임을 지거나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셔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호소했다.

이날 A씨는 “누가 봐도 5분이 되지 않았을 무렵에 갑자기 종료령이 울려서 뭔가 이상해서 제가 시계를 봤다. 제가 수능을 볼 때 시계를 두 개를 차고 봤다. 하나가 혹시 고장 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두 시계가 다 3시 56분을 가리키고 있었다”고 말했다.

A씨는 감독관에게 “아직 탐구 시간 남은 거 아니냐. 제 시계는 아직 4시가 안 됐다. 그렇게 말씀을 드렸더니, 선생님께서 그건 학생 시계가 고장 난 것 같다. 이렇게 말씀을 하셨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어 “그러던 와중에 갑자기 또 안내 방송으로 ‘죄송하다. 종료령이 잘못 울렸다’ 이렇게 나왔다”며 “그런데 그 방송이 나온 이후부터 선생님들께서 ‘이거 본인 시험지 맞아요?’ 이렇게 하시면서 본인 확인하시고 시험지를 다시 나눠주셨다. 그런데 지연된 시간이 몇 분인지를 알려주지 않아서 몇 분을 그냥 시간만 하릴없이 보내게 되었다”며 “제가 알기로는 다른 학생의 시험지를 받아든 학생도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A씨는 “방송에서는 지연된 시간을 더 주겠다고 했지만 정확히 몇 분이 부여된 건지 모르는 상태에서 일단 시험이 끝났다. 대체 몇 시에 제2 탐구가 시작되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제2탐구를 시작했는데, 이미 앞 시간에서 망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아무도 예상 못 한 일이었다”고 토로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캡처
청와대 국민청원 캡처
1등급 자신했는데 3등급…목표한 대학 수시 최저기준 미달
이 수험생은 자신 있다고 생각한 탐구영역이었으나, 수시 최저를 맞추지 못해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고 했다. 원래 1등급을 예상했는데 3등급이 나와서 “원하는 대학에 가지 못하게 됐다”고 격분했다.

A씨는 “저 같은 경우는 탐구를 굉장히 훈련을 많이 해 왔어서 이것만큼은 자신 있다 하고 들어간 과목이었는데 거기에서 예상했던 등급보다 훨씬 낮은 등급을 받게 돼 최저가 다 미달로 되어버렸다”며 수시에 필요한 최저등급을 맞추지 못했다고 했다.

A 씨는 “제가 실력이 부족해서 성적이 안 좋게 나왔다면 슬프겠지만, 받아들일 수는 있다”며 “그런데 이게 뭔가 외적인 요소로 인해서 제가 준비한 것을 다 드러내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어서 억울한 게 많이 크다”고 말했다.

또 “재시험이 현실적으로 불가한 건 알고 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서 메뉴얼을 수정하고 분명히 누군가는 책임을 지거나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셔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현재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종료령 사고와 관련한 구제 방안과 재발 방지를 요구하는 청원 글이 올라왔다. 또 해당 학교에서 시험을 본 수험생 700여 명은 집단소송을 준비 중이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