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대응 1년 효과… 야생 멧돼지 83% 감소

ASF 대응 1년 효과… 야생 멧돼지 83% 감소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11-04 22:32
업데이트 2020-11-05 0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차 울타리 내 8237마리→1404마리
총기 포획 7개 시군 198개 리로 확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지역 2차 울타리 내 야생 멧돼지 개체수가 1년 만에 8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3일 경기 연천 비무장지대에서 ASF 첫 발생 후 올해 9월까지 9개 시군에서 총 782건이 확인됐다. 경기가 파주·연천·포천 3곳, 강원은 철원·화천·춘천·양구·인제·고성 등 6곳이다. 지역별 발생은 화천이 299건으로 가장 많다.

환경부가 ASF 발생 2차 울타리(파주 등 6개 시군 1061㎢) 내 지역에서 멧돼지 개체수를 조사한 결과 2019년 10월 기준 8237마리에서 올해 9월 1404마리로 83% 정도 감소했다. 1㎢당 멧돼지 서식밀도는 지난해 6.1마리에서 올해는 1.4마리로 야생멧돼지에서의 순환 감염을 제어할 수 있는 수준(2마리 미만)인 것으로 분석됐다.

2차 울타리를 포함한 광역울타리(3176㎢) 내 개체수는 2019년 10월 2만 2203마리에서 1만 4000~1만 6000마리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ASF 발생 이후 차단을 위해 적극적으로 포획한 결과다.

환경부는 양성 개체 증가가 예상되는 겨울철을 앞두고 또다시 포획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0~12월 10~20마리대이던 감염체가 지난 4월 115마리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최남단 광역울타리에서 10㎞ 이상 떨어져 외부 확산 위험이 적은 북쪽 지역에서 사냥개를 동반한 총기 포획을 허용할 방침이다. 총기 포획 허용 지역이 기존 2개 시군 18개 리에서 7개 시군 198개 리로 확대된다.

광역울타리 이남 경기·강원지역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포획활동을 강화한다. 경기도는 지난달 말부터 자체 포획단을 구성해 포천·가평·남양주에서 순환포획 중이다. 강원도는 12월 14일부터 강릉·홍천 등 5개 시군에 광역수렵장을 열어 멧돼지 포획에 나설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20-11-05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