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광고 엿보기] 명실상부한 첫 전국 규모 야구대회

[근대광고 엿보기] 명실상부한 첫 전국 규모 야구대회

손성진 기자
입력 2020-10-25 17:42
업데이트 2020-10-26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매일신보 1920년 10월 31일자에 실린 전국야구대회 개최 사고(社告).
매일신보 1920년 10월 31일자에 실린 전국야구대회 개최 사고(社告).
한국에 야구가 보급되기 시작한 때는 1905년께이다. 대한체육사는 한국 야구의 효시를 미국인 선교사 질레트가 YMCA 회원인 현동순, 허성, 김연호 등으로 팀을 만들어 야구를 하기 시작한 것으로 본다. 이후 덕어(독일어)학교, 영어학교 등 외국어학교로 번져나갔고 1906년 3월 15일 서울 동대문 훈련원 터에서 최초의 야구 경기가 열렸는데 덕어학교가 YMCA에 3점 차 승리를 거뒀다고 한다.

이후 전국 규모의 야구대회가 열렸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15년 6월 13일 서울 용산 철도운동장에서 조선공륜사 주최로 야구대회가 열렸다는 매일신보의 보도 등이다. 명실상부한 전국 규모의 야구대회는 1920년 11월 4일부터 사흘 동안 매일신보 후원으로 서울 배재고보 운동장에서 열린 ‘전선(전조선) 제1회 야구대회’다. 일제가 내건 문화통치의 일환으로 1920년 창립한 대한체육회의 전신인 조선체육회가 개최한 대회다. 체육사에서는 5년 후 종합경기대회로 전환된 이 대회를 전국체전의 효시, 즉 제1회 전국체전으로 본다. 지난해 10월 열린 전국체전이 100회 대회였다. 1회 대회에는 휘문, 경신, 중앙, 보성, 배재고보 등 다섯 학교의 야구팀이 참가했다. 매일신보는 3면 머리기사로 대회를 다루면서 사진도 두 장 실었다. 사진 제목은 ‘유사 이래 첫 야구대회’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홈그라운드인 배재가 중앙을 꺾고 우승을 거머쥐었다.

우승한 배재고보 학생들은 기쁨을 이기지 못하고 미쳐 날뛴 반면 패배한 중앙고보 학생들은 분함을 이기지 못하고 방성대곡(放聲大哭)했다고 기사는 전하고 있다(매일신보 1920년 11월 6일자). 배재고보는 숙명여고생들이 수를 놓은 우승기를 가져갔다. 이 대회는 최초로 입장료를 받은 대회로 기록됐다. 매일신보는 “입장료는 삼일 동안 쓰는 것을 40전에 발행하는데 학생에 한해서는 그 반값인 20전씩에 할 것이고 본지에 있는 할인권을 찢어 가지고 오면 10전씩을 더 할인해 30전으로 해 준다”고 보도했다(1920년 11월 4일자).

어떤 이는 1920년 창간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정간을 당해 조선체육회가 후원사 선정을 고민하다 후원 언론사로 매일신보를 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하지만 근거가 없다. 그 이유로 대회 개최를 불과 열흘도 남겨 두지 않은 시점에 기사와 사고(社告)를 낸 점을 들지만 당시에는 그런 일이 흔했다. 매일신보는 신생 신문들보다는 부수가 월등히 많아 대회를 알리는 면에서도 유리했을 것이다. 또 조선체육회가 ‘항일의 선봉’을 자임했다고 하는데 그 또한 근거 없는 주장이다. 초대 조선체육회장을 지낸 보성전문학교 교장 출신 고원훈은 회장을 마친 후 중추원 참의가 돼 반민족 행위를 일삼은 친일파였다. 고원훈이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를 후원사로 삼은 것은 어쩔 수 없이 한 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20-10-26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