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이후 나를 미워했지만… 아이 낳고, 안 낳고는 내 선택”

“그날 이후 나를 미워했지만… 아이 낳고, 안 낳고는 내 선택”

손지민, 김정화 기자
입력 2020-10-21 00:40
업데이트 2020-10-21 09: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는 낙태했다-모두가 알지만 하지 않은 이야기] <2>임신중절 경험 청소년의 소망

임신과 출산
임신과 출산
프리랜서 작가 박유진(가명·23)씨는 5년 전 생리가 늦어지자 불안한 마음에 산부인과를 찾았다가 임신 4주 진단을 받았다. 우리 나이로 19살, 미성년자인 그에게 닥친 인생 최대 위기였다.

낙태를 살인죄라고 생각했지만 박씨는 임신중절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낙태는 여성의 선택’이라던 당시 남자친구는 “네 결정에 따르겠다”면서도 수술 비용을 보태지는 않았다. 집을 나와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계를 꾸리던 그는 한 달 월급에 가까운 수술비를 홀로 부담해야 했다.

●19세 때 중절… 상대 남성 동의 있어야 겨우 수술

병원은 미성년자에겐 낙태 수술을 해 줄 수 없다고 했다. 보호자나 파트너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박씨는 유일하게 임신 사실을 털어놓은 두 살 많은 성인 친구의 신분증을 빌려서 겨우 수술 절차를 밟을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수술 절차나 후유증에 대한 병원 측의 자세한 안내는 없었다. ‘불법 수술이라서 도중에 잘못되면 제대로 치료를 못 받는 게 아닐까’라는 두려움이 들었다. 수술은 5분 만에 끝났다.

박씨는 임신중절 수술을 받은 뒤 1년은 ‘나를 미워하는 시간’이었다고 회고했다. 불법행위를 했다는 죄책감이 커 친구들에게 쉽사리 낙태 사실을 말할 수 없었다. 하지만 언제까지 이 경험을 가슴속에만 담아 둘 순 없었다. 수술 1년 후 임신중절 사실을 밝히기 시작했다.

한번 시작한 이야기는 봇물 터지듯이 흘러나왔다. 그는 현재 수술 경험을 담은 책을 만들고 있다. 낙태는 숨겨야 할 일도, 잘못도 아니라는 걸 더 많은 이들에게 알리고 싶어서다. 그는 “학교 때 받은 성교육이나, 길거리에서 ‘낙태는 죄’라는 피켓을 들고 있는 모습을 종종 보고 낙태는 죄라고 생각했는데 이제는 그게 아니라는 사실을 안다”면서 “직접 부당함을 경험하면서 나를 힘들게 한 건 잘못된 제도와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라는 걸 알게 됐다”고 강조했다.

●숨길 일도 잘못한 일도 아니란 걸 깨달아

한때 다시는 남자를 만나지 않겠다는 생각도 했지만, 오히려 지난 경험 덕분에 더 좋은 연인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된 것도 변화다. 박씨는 “언젠가는 아이를 갖고 싶다”면서 “아이를 낳는 것도, 낳지 않는 것도 선택의 영역이다. 낙태죄가 완전히 폐지되고 내 몸에 대한 권리가 보장될 때 임신·출산도 축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지민 기자 sjm@seoul.co.kr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20-10-21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