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고지대 선작지왓 용암돌탑 생성 비밀 풀렸다

한라산 고지대 선작지왓 용암돌탑 생성 비밀 풀렸다

황경근 기자
입력 2020-10-06 11:32
업데이트 2020-10-06 1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라산 선작지왓 일대 모습 드문드문 튜물러스 용암돌탑들이 형성돼 있다.(제주도)
한라산 선작지왓 일대 모습 드문드문 튜물러스 용암돌탑들이 형성돼 있다.(제주도)
한라산 남서부 고지대인 선작지왓에 분포하고 있는 용암돌탑은 용암활동에 의한 독특한 화산지형으로 확인됐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선작지왓 일대 지질연구 조사 결과 선작지왓 용암돌탑은 용암이 분출된 후 식은 표층이 그 아래를 흘러간 용암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현상에 의해 봉분 형태로 솟아 오른 ‘튜물러스’ 지형으로 확인됐다고 6일 밝혔다.

연구조사에 따르면 선작지왓 일대에는 140여 곳에 용암상승 작용에 의한 튜물러스와 그와 관련된 지형(붕괴된 튜물러스)들이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형들은 주변에 비해 평균 5m 이상 높고 최고 15m까지 솟아 있기도 하며 이 중 30여 곳은 탑궤와 같이 전형적인 용암돌탑의 형태를 갖는다.

흔히 튜물러스와 같이 용암상승작용에 의한 지형은 점성이 낮은 현무암질 용암에서 관찰되거나, 흘러가던 용암이 완만한 지형을 만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형성된다.

또 용암류 앞쪽의 전진 속도가 늦어짐으로 인해 뒤에서 밀려오는 용암에 의해 그 표면이 부분적으로 밀려올라가게 된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튜물러스들은 제주도 해안의 완만한 지대에 주로 분포해 왔다.반면 선작지왓 일대의 튜물러스 및 그와 관련된 지형들은 해발고도 1400m에서 1700m에 걸친 한라산 고지대에 분포하는 독특한 사례이다.

연구진은 이러한 독특한 현상이 선작지왓 일대의 용암이 저지대 해안의 용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성이 컸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한라산 고지대의 용암들은 대체로 저지대의 용암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고지대에서 지형경사가 더 큼에도 불구하고 용암은 잘 흘러가지 못하고 밀려 올라가는 용암상승작용을 겪은 것으로 분석됐다.

신창훈 제주도 한라산연구부장은 “이번 연구는 한라산 탐방객들의 지질학적 호기심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