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은 왜 여전히 남편 성을 따를까

서양은 왜 여전히 남편 성을 따를까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10-03 09:00
업데이트 2020-10-03 0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英 대학 연구팀 “가족으로서 소속감 위해 성 바꾸는 경우도”
남편성으로 성을 바꿀지 선택도 결국 여성이 정하는 것

이미지 확대
코로나 시대의 결혼-AP 연합뉴스
코로나 시대의 결혼-AP 연합뉴스
결혼한 여성들이 남편 성(姓)을 따르는 서양 문화의 배경에는 가부장적 역사가 자리하고 있지만, 21세기에도 여전히 이같은 모습은 계속되고 있다. BBC는 최근 보도에서 2016년 기준 영국 기혼 여성의 90% 가까이가, 미국 여성은 지난 몇년간 조사에서 70%가 각각 남편의 성으로 바꿨다며 “개인주의와 남녀평등 인식에도 불구하고 서양에서 여전히 남편 성을 따르는 전통이 강력한 문화적 규범으로 남아있다”고 전했다. BBC는 페미니즘이 확산된 시대에 비춰보면 이같은 통계는 다소 놀라운 수치라고 설명했다. 자신이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하는 여성도 결혼 후 자신의 성을 버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영국 브래드포드대 사이먼 던컨 교수팀은 일단 남성이 배우자가 자신의 성을 따르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던컨 교수는 영국과 노르웨이의 신혼·약혼 부부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를 소개하며 “일부 남성들은 여전히 자기 성을 따르기를 원하는데, 가부장적 모습의 재생산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것은 가부장적 배경뿐만 아니라 ‘좋은 가족’을 만들기 위한 서로의 노력이 있다는 점이다. 미 캘리포니아주의 한 여성은 “개인이 아닌 가족으로서 정체성을 느끼게 한다”며 남편은 물론 자녀들과 같은 성을 쓴다는 것이 ‘하나의 가족’임을 인식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특히 이전까지 성을 바꾸기 원치 않던 여성이 출산 후 입장을 바꾸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고 전했다. 오슬로에 사는 미국 출신 무용수 제이미 버그는 “아이들과 감정적으로는 물론 서류상으로도 하나로 연결돼 있음을 느낄 수 있다”며 출산 후 성을 바꾼 이유를 설명했다. 더불어 해외여행의 입국심사 등에서 한 가족임을 증명할 수 있어 행정적인 번거로움도 피할 수 있었다고 버그는 덧붙였다. 남편, 자녀와 성이 다른 한국 여성들이 해외 공항에서 종종 가족이 아니라는 오해를 받는 경우가 있는 것을 생각하면 수긍이 가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페미니즘의 관점에서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BBC는 기존 성을 유지할지 아닐지는 결국 여성 개인이 선택할 몫이라는 게 여성이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페미니즘적 관점과 일맥상통한다고 설명했다. 내년 결혼을 앞둔 캘리포니아의 린지 에반스는 “남자 쪽이 나에게 먼저 ‘내 성으로 바꾸라’고 한 적이 결코 없다”면서 “나는 페미니스트로서 나에게 맞는 최선의 선택을 한 것”이라고 배우자의 성을 따르기로 한 이유를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결혼식 장면-EPA 연합뉴스
결혼식 장면-EPA 연합뉴스
여성의 남편 성 따르기는 앞으로도 계속될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거의 없어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앞으로 모습은 더욱 다양할 것으로 전망된다. BBC는 18~34세 영국인의 11%가 결혼했을 때 각각의 성을 함께 쓰는 ‘양성 쓰기’를 채택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자신의 이름이 인터넷에 검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양성 쓰기를 선택하는 여성들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