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격노’ 언급 적절치 않지만, 한반도평화 노력 멈추지 않을 것”

靑 “‘격노’ 언급 적절치 않지만, 한반도평화 노력 멈추지 않을 것”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20-09-14 17:20
업데이트 2020-09-15 1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8년 일촉즉발 상황 언급…“한반도 평화는 시대정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확산 초기 치명적인 위험을 알고 있었으면서 이를 고의로 은폐했다는 폭로를 담은 밥 우드워드의 신간 ‘격노’의 표지 사진.  사이먼 앤 슈스터 제공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확산 초기 치명적인 위험을 알고 있었으면서 이를 고의로 은폐했다는 폭로를 담은 밥 우드워드의 신간 ‘격노’의 표지 사진.
 사이먼 앤 슈스터 제공 EPA 연합뉴스


청와대는 14일 “비록 (남북 및 북미관계가) 교착상태에 빠져있지만 한반도 평화는 시대정신이고 정부는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신의 옷자락’을 놓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신의 옷자락’이란 ‘신이 역사 속을 지나가는 순간, 뛰어나가 그 옷자락을 붙잡고 함께 나아가는 것이 정치가의 책무’라는 오토 비스마르크(1815~1898)의 발언을 인용해 2018년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행보를 평가한 국내 저명언론인(고 김영희 대기자)의 평가에서 발췌한 것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2017년) 한반도에 (미국이) 핵무기 80개 사용을 검토했다는 국민들을 불안하게 만드는 보도가 나왔는데 당시 상황이 어떠했고 정부가 어떻게 일촉즉발의 위기를 넘길 수 있었는지 언급이 없어서 말씀드린다”며 이렇게 설명했다.

앞서 일부 언론은 밥 우드워드 워싱턴포스트(WP) 부편집인의 신작 ‘격노(Rage)’ 전문을 입수,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한 2017년 미국이 북한 정권 교체까지 염두에 둔 작전계획 5027을 검토했으며 핵무기 80개의 사용 가능성이 포함됐다고 보도한 데 따른 것이다.

이 관계자는 “외국 언론인의 저작물에 대해 청와대가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는 않다고 생각하지만, 보도 가운데 한반도에 핵무기 사용이 검토됐다는 내용이 있었고, 국민을 매우 불안하게 만들 우려가 있는 보도였다”고 말했다. 이어 “‘격노’에는 2017년 7~9월까지 매우 위험했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백악관 내부 스토리를 확인해 드리기는 어려우나 당시 매우 심각했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공공연하게 외신에 ‘외과적 타격(surgical strike)’이라는 단어 등장할 때”라고 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이 나온 게 2017년 7월 6일이고, 당시 전쟁 위기 타개책으로 나온 언급이었다. 약 한달 뒤 8·15 경축사에서 본격적으로 전쟁 불용 입장을 천명했다”면서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핵무기 사용은 우리 작계에 없고 한반도에서의 무력 사용은 우리나라의 동의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대통령이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어 9월 유엔총회에서 북한의 붕괴를 원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평창동계올림픽 초청 의사를 전 세계에 발신했고, 이후 수많은 외교적 노력으로 결국 북한은 2018년 평창올림픽 참가 의사를 밝혔고, 평창이 남북과 북미를 잇는 평화의 가교가 됐다”고 했다. 아울러 “평창 이후 우리 정부는 정상외교를 가동했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궤도에 올려놓았다”면서 “이러한 노력이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지면서 우리 정부는 전쟁 위기를 단순히 넘기는 차원이 아니라 평화 국면으로 반전시킬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