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는 대만인’ 발언은 마스크 타내려는 쇼였나?”

“‘나는 대만인’ 발언은 마스크 타내려는 쇼였나?”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9-13 14:55
업데이트 2020-09-13 17: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만사회, 체코 상원의장 독립 지지 ‘말바꾸기’에 실망·격분

지난 3일 차이잉원(오른쪽) 대만 총통이 타이베이 총통부에서 밀로스 비르트르칠 체코 상원의장에게 훈장을 수여하며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타이베이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 3일 차이잉원(오른쪽) 대만 총통이 타이베이 총통부에서 밀로스 비르트르칠 체코 상원의장에게 훈장을 수여하며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타이베이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의 압박으로 외교 고립 상태에 처한 대만이 밀로스 비르트르칠 체코 상원의장의 발언에 격노했다. 그가 최근 대만을 방문해 독립국가임을 인정하는 발언을 했다가 체코로 돌아가서는 언제 그랬냐는 듯 말을 바꿨기 때문이다.

13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비스트르실 의장은 최근 CNN방송 인터뷰에서 “대만을 독립국가라고 부른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대만 정부의 환대에 호응해 ‘접대용 발언’을 한 것일 뿐 중국 정부가 말하듯 ‘선을 넘은 행동’(대만을 정식 국가로 인정)을 한 것은 아니었다는 취지다. 체코 정부가 자신에게 “대만에 가지 말라”고 요구한 적도 없다고 덧붙였다. 그의 대만 방문을 두고 체코 내부에서 논란이 커지자 비난을 피하려는 의도다.

앞서 비스트르칠 의장이 이끄는 체코 방문단은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4일까지 대만을 방문했다. 방문단은 산업·문화분야 인사와 취재기자 등 89명이었다. 비스트르칠 의장은 1989년 11월 체코 시민들이 주도한 민주화 운동인 ‘벨벳혁명’ 뒤로 대만에 방문한 체코의 최고위급 인사가 됐다. 특히 지난 1일 대만 입법원 연설에서 “나는 대만인”이라고 말해 대만 전역에서 뜨거운 환영을 받았다. 그는 차이잉원 대만 총통에게 “체코 상원은 대만 방문을 지지한다”면서 “이번 방문으로 체코가 유럽국가 가운데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중국 외교 당국은 강하게 반발했다.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은 비스트르칠 의장의 대만지지 발언에 대해 “공개적인 도발이자 선을 넘은 행동”이라면서 “중국 내정 간섭 행위에 대해 필요한 대응을 할 수밖에 없다. 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12일 중국 문화여유부는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중국인들이 당분간 체코를 여행하지 말도록 주의를 환기한다”고 밝혔다. 체코는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유럽 4대 관광국’ 가운데 하나다. 사회주의 국가 특성상 중국 정부의 권고 지시는 사실상 체코에 대한 여행을 금지한 것이나 다름없다.

친중 성향 밀로시 제만 체코 대통령은 “앞으로 외교정책 회의에 비스트르칠 의장을 배제하겠다”며 서둘러 수습에 나섰다. 제만 대통령은 자국 언론 인터뷰에서 “비스트르칠 의장의 대만 방문은 ‘소년같이 유치한 도발’”이라면서 “그의 방문으로 체코가 중국에 보복을 당할 위험에 처했다”고 주장했다. 안드레이 바비시 체코 총리도 “체코 기업들이 (중국으로부터) 피해를 받지 않도록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대만 사회는 비스트르칠 의장의 언론 인터뷰에 크게 격분했다. 쉽게 말해서 ‘뒤통수를 맞았다’는 반응이다. 그에 대한 배신감과 실망이 상당하다. 타이베이에 와서는 자신을 ‘대만인’이라고 선언하고도 프라하로 돌아가서는 대만이 독립국가는 아니라는 점을 재차 확인했기 때문이다. 대만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 PTT에는 “비스트르칠 의장 방문 때 대만 정부가 기부를 약속한 마스크 10만개·마스크 생산라인 5개를 취소하라”, “비스트르칠 의장에게 준 훈장을 박탈해야 한다” 등 주장이 쏟아지고 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