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연임하면 최우선과제는 방위비 분담”

트럼프 “연임하면 최우선과제는 방위비 분담”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20-08-06 20:52
업데이트 2020-08-07 06: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미 방위비 협상 재선 이후로 미룰 듯
미군 규모 조정 뒤 분담금에 비용 포함
에스퍼 美국방 “北은 분명한 도전세력”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연임 시 최우선 과제로 동맹국의 공정한 방위비 분담을 꼽았다. 현재 교착된 한미 방위비분담협상이 오는 11월 미국 대선까지 타결되지 않은 채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다면 인상 압박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우리의 동맹국들 또한 몇 년 동안 우리를 벗겨 먹고 있다”며 “그들은 대금을 지불하지 않고 있다. 그들은 체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도 같은 날 미국 에스펀 연구소가 주최한 회의에서 “우리는 공정한 분담금을 (국내총생산 대비) 2%라고 말해왔다”면서도 “솔직히 나는 해당 국가가 얼마나 부유한가에 따라 그 이상을 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미 방위비분담협상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양국 협상단의 잠정 합의안인 협정 유효기간 5년에 첫 해 전년 대비 13%, 나머지 해 7~8% 인상을 거부하고 전년 대비 50% 인상을 역제안했다. 한국 정부는 잠정 합의안 이상의 인상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이 원하는 인상폭을 얻어내고자 협상 타결을 대선 이후로 미루거나, 유효기간을 1~3년으로 단축해 재선 후 새로운 협상을 벌일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특히 에스퍼 장관이 이날 해외 주둔 미군의 재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재차 확인함에 따라, 주한미군의 순환 배치 규모 등을 조정한 뒤 이 비용을 한국의 분담금에 포함시키려 할 가능성도 있다.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전 한미 방위비협상을 타결해 성과로 내세우려 할 수도 있지만, 지금 타결할 경우 대선에 유리한 합의가 도출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재선 후 지금보다 요구액을 훨씬 늘려 한국을 압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에스퍼 장관은 같은 행사에서 미국의 주요 경쟁국으로 중국과 러시아를 꼽은 뒤 “북한은 미국에 분명한 도전세력”이라고 말했다. 앞서 에스퍼 장관은 지난달 7일 북한을 ‘불량국가’라고 언급했으며,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은 3일 뒤 에스퍼 장관의 발언을 비판하기도 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20-08-07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