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선영의 의(醫)심전심] 치료받지 않을 권리

[김선영의 의(醫)심전심] 치료받지 않을 권리

입력 2020-06-09 20:36
업데이트 2020-06-10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암 진단을 받고 항암치료 후 회복한 것으로 알려진 한 유명인의 글을 얼마 전 읽었다. “재발하면 치료받을 생각이 전혀 없다. 항암은 한 번으로 족하다”는 대목이 눈에 띄었다. 물론 재발하지 않기를 바라지만, 만약 재발했을 때 치료를 받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재발암의 일부는 완치될 가능성도 있으나 그 확률이 매우 높다고는 할 수 없다. 적어도 처음 치료할 때만큼의 회복 가능성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환자의 입장에서는 치료를 받지 않는 선택이 합리적이라 할지라도 막상 병원에서 그 선택이 그대로 존중받기는 좀처럼 쉽지 않다. 젊은 환자가 완치 가능성이 있는데도 치료를 받지 않는다면 의사는 불안해진다. 향후 악화되었을 때 환자가 후회를 하거나 의사를 탓하면 어떻게 하나 걱정될 것이다. 환자를 더 열심히 설득하지 않았다며 가족들이 비난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의사는 가족들의 견해도 반복 확인해 의무기록에 이를 꼼꼼히 기록해 놓고 필요하다면 환자의 자필서명까지 받아 둘 것이다. 상당수 환자는 가족들의 애원에 마음을 돌리기도 한다. 이 모두가 바쁜 의료진에게는 번거롭고 신경쓰이는 과정인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환자에게 치료받을 권리가 있듯 치료받지 않을 권리 역시 없을 리 없다. 치료받지 않을 권리는 안아키가 주장하는 ‘백신을 맞지 않을 권리’를 뜻하는 것이 아니다. 외상이나 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응급상황에서 치료받지 않을 권리를 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다만 암, 만성콩팥병, 간경변 등 만성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상황이라면, 치료가 항상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만은 아니기에 개인의 판단이 중요해진다. 치료 효과가 큰 초기와는 달리 병이 진행될수록 감내해야 할 치료의 고통과 불편은 커진다. 어떤 이에게는 치료가 도움될 수 있지만, 어떤 이에게는 고통을 가중시킬 수도 있다. 불확실성이 큰 것이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받아들일지는 환자의 개인적 가치관과 삶의 환경에 따라 다르다. 정답은 없다.

 치료의 불확실성을 감당하기 두려운 환자들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해 의사를 난감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런 사례들이 꽤 되다 보니 자신의 의지로 치료를 받지 않겠다고 결정을 했다고 하더라도 보완대체요법의 추종자로 여겨지기 쉽다. 치료의 효과와 위험성을 명확히 이해하고 선택하는 환자들이 그만큼 드물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중요한 문제는 이것이 한국 의료가 실패한 사안들 중 하나라는 점이다. 치료가 자신의 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환자 본인이 충분히 이해하고 고민하고 결정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지 못하는 현실 말이다. 그것에 대해 묻고 생각할 여유를 주는 일이 번거로움이 되는 현실. 질문을 반복하며 결정을 미루는 것이 유난스러움이 되는 현실.

 오늘도 나는 외래진료실에서 궁금한 것들을 몰아서 묻느라 시간을 지연시키는 환자들로 초조해하고 있다. 의사의 말을 한마디라도 더 듣고 싶어 수첩에 궁금한 것들을 빼곡히 적어 온 이들은, 순서를 기다리는 다른 환자들의 시간을 잡아먹는 ‘민폐 환자’가 된다. 의사에게는 ‘말이 많은’ 환자들의 질문에 적당히 답하고 적당히 대화를 끊어 진료실 바깥으로 내보내는 노련함이 요구된다. 진료실을 나간 환자는 정해진 코스대로 ‘보내어진다’. 원무과 직원은 재빠르게 결제하고 약사는 민첩하게 항암제를 조제하며 간호사는 숙련된 솜씨로 주사를 놓는다. 프로토콜대로 컨베이어 벨트를 돌리는 병원 노동자들은 최대한의 효율로 일하고 있지만, 막상 환자들로서는 그들의 생산품이 된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이렇듯 세계 최고 가성비의 K의료는 질문과 생각과 대화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래서 긴급한 대처와 행동이 요구되는 팬데믹 상황에서 빛을 발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2020-06-10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