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회운동과 유행 사이… ‘해시태그’ 세상 바꿀까

사회운동과 유행 사이… ‘해시태그’ 세상 바꿀까

김희리 기자
김희리, 명희진 기자
입력 2020-06-09 22:16
업데이트 2020-06-10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명희진·김희리 기자의 아무이슈] 해시태그캠페인, 뉴노멀로 자리잡나

이미지 확대
흑인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흑인들의 생명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라고 쓰인 손팻말을 든 테니스 선수 코리 고프. 인스타그램 캡처
흑인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흑인들의 생명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라고 쓰인 손팻말을 든 테니스 선수 코리 고프.
인스타그램 캡처
‘이 일은 한 번에 끝나는 일이 아니고 유행 같은 것도 아닙니다.’

여자프로테니스 투어의 ‘떠오르는 샛별’ 코리 고프(16·미국)가 ‘테니스의 황제’ 로저 페더러(39·스위스)에게 보낸 링크 머리말에는 이런 문구가 쓰여 있었다. 고프는 지난 4일 페더러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당신이 도울 수 있는 방법’이라는 댓글을 달았다. 페더러가 전날 ‘블랙아웃화요일’(#blackouttuesday)에 동참하면서 올린 ‘검은 사진’에다 각종 탄원·청원에 참여하는 법, 기부 방법, 시위 참여법 등을 소개하며 그에게 손가락 세상을 넘어 행동으로 현실에 참여하기를 촉구한 것이다.

백인 경찰관의 과잉 진압으로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가 사망하면서 세계 곳곳의 사람들이 자신의 SNS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9일 인스타그램에서만 5000만건 이상의 게시물에 ‘블랙아웃화요일’, ‘흑인들의 생명도 소중하다’(#blacklivesmatter) 등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해시태그가 달렸다.

해시태그 캠페인은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대중의 지지와 관심을 이끌어 낸다. 그러나 이런 손쉬운 참여 행태에 대해 “마치 유행하는 운동화를 소비하듯 과시 욕구에만 그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개념 있는 현실 참여자처럼 보이려고 ‘힙한’(유행을 선도하는) 운동을 취사선택하는 행태가 실제로 사회변화의 동력이 될 수 있겠느냐는 의구심이다. 인터넷 공간에서 사회적 목소리를 담는 도구로 자리잡은 해시태그 운동은 과연 세상을 바꾸고 있을까. 사회운동의 ‘뉴노멀’(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을까.

박창호 숭실대 정보사회학 교수는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같은 생각으로 연결된 느낌 그 자체가 사회운동의 새로운 변곡점일 수 있다”면서도 “다만 모두가 손가락으로만 지지하면 실제 행동은 누가 할 것인가의 문제가 숙제로 남는다”고 말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 교수도 “참가자들이 ‘이 정도 관심을 보였으면 내 역할을 다했다’는 심리적 충족감을 느끼게 돼 실제적 활동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일과성에 그칠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남다른 시민의식을 드러내고 싶은 과시 욕망이 결과적으로 ‘게으른 참여 문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다.

사회적 이슈마다 빠르게 전개되는 해시태그 운동의 성패는 결국 현실 참여 행위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유도해 낼 수 있는지가 관건이라는 제언들이다. 2016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와중의 해시태그 운동이 범례로 꼽힌다. 당시 국정농단 핵심 인물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그런데_최순실은’ 해시태그 운동은 시민 분노가 광장의 촛불집회를 거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이끌어 내기까지의 과정에서 큰 역할을 했다.

사회운동은 당대에 가장 활발한 소통의 패러다임을 활용할 수밖에 없다. 침묵의 해시태그 참여는 화염병을 던지는 과격 시위보다 훨씬 더 강력한 대중 연대의 방식으로 앞으로도 계속 힘을 얻어 갈 것이란 전망이다. 인터넷 공간에서 무형으로 분출하는 사회적 요구를 일과성 이슈로 휘발시키지 않고 생산적 담론으로 수렴하는 작업이 그래서 더 절실해졌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20-06-10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