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호준의 시간여행] 어느 이발사의 독백

[이호준의 시간여행] 어느 이발사의 독백

입력 2020-05-19 17:30
업데이트 2020-05-20 04: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이호준 시인·여행작가
‘꺽다리이발소’가 문을 닫았다. 어차피 오늘이냐 내일이냐의 문제였기 때문에 새삼 놀랄 일은 아니다. 그렇다고 아무렇지도 않았다는 건 아니다. 소식을 듣는 순간 가슴에 묵직한 돌이 얹히더니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세월에 치인 내 또래 이발사들은 너나없이 그런 편이지만, 꺽다리이발소 김씨도 몇 해 전부터 문을 닫겠다는 말을 자주 했다. 종일 혼자 앉아 있으려니 혈압만 올라간다는 것이었다.

그도 나도 한때는 잘나가던 이발사였다. 밀려드는 손님에 즐거운 비명을 지르기도 했다. 애초 이발사가 된 건 내 뜻은 아니었다. 평생 가난에 허덕였던 아버지가 이발사가 되라고 권했다.

어느 날, “배운 것 없는 네가 평생 먹고살기에는 이만 한 일이 없을 것”이라면서 읍내 이발소의 ‘머리감개’로 넣어 주었다. 허드렛일 몇 년 만에 ‘바리캉’을 잡을 수 있었다. 학생들이 머리를 박박 밀던 시절이었으니 멋을 내고 말고 할 것도 없었다. 돈이 없어 아이들 머리를 못 깎이다가 명절이나 돼야 줄줄이 끌고 오는 집도 있었다. 설이나 추석을 앞두고는 밤을 새우다시피 했다.

내 생전에 이발소는 좋은 날만 있을 줄 알았다. 인구는 늘어나는데 이발을 하지 않는 남자는 거의 없었으니 그럴 만도 했다. 젊은이들 사이에 장발 바람이 불어 이발소를 소 닭 보듯 할 때도 밥 굶는 이발사는 없었다.

어차피 상투를 틀거나 땋아 내리지 않을 바에야 언젠가는 이발소에 와야 했다. 그러나 아무리 예쁜 꽃도 때가 되면 지는 법. 딱히 언제부터라고 꼽기는 쉽지 않지만 손님이 줄기 시작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일시적인 현상이거나 가까운 곳에 서비스 좋은 이발소라도 개업했으려니 했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손님은 해가 갈수록 눈에 띄게 줄었다. 그때도 내 이발소가 워낙 구식이라 그런가 생각했다. 잘 차려 놓은 시설에 면도사를 두고 안마니 뭐니 극진한 서비스를 하는 이발소들이 자꾸 생겨난다는 것쯤은 알고 있었다. 난 그렇게까지 하고 싶지는 않았다. 누가 뭐래도 이발소는 머리를 깎는 곳이어야 했다.

하지만 내 이발소를 둘러볼 때마다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 건 아니었다. 오랜 세월이 밴 가죽의자는 그렇다 쳐도, 타일이 떨어져나간 세발대(洗髮臺)와 플라스틱 조루는 내가 봐도 좀 심하다 싶었다. 가죽 띠에 썩썩 갈아서 날을 세우는 일자면도기와 십수년 써 온 ‘바리캉’도 여전히 빛나고 있었지만, 수명이 다했음을 숨길 수는 없었다.

힘 닿는 대로 하나씩 바꿔 봤지만 떠난 손님이 돌아올 기미는 없었다. 이발소에 발길을 끊은 이들이 가는 곳이 미용실이라는 건 누가 말해 주지 않아도 알 수 있었다. 아무리 세상이 바뀌어도 그렇지, 미용실이 어디 남자들 머리를 깎는 곳이던가? 남자 머리는 싹둑싹둑 잘라내면 안 된다. 사각사각 깎아야 한다. 하지만 싹둑싹둑이든 사각사각이든 방법이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미용실에서 자른 머리는 세련되고, 이발소에서 깎은 머리는 고리타분해 보인다는 세상이니.

시내에 있던 이발소를 처분하고 외곽으로 물러앉은 게 꽤 오래 전이었다. 나만 그렇게 밀려난 게 아니었다. 아예 시골로 가는 이발사도 있었다. 꺽다리이발소의 김씨도 그런 현실이 버거웠을 것이다. 하지만 난 이대로 물러나지는 않을 것이다.

이발소는 이발소고 미용실은 미용실이다. 지금도 내 솜씨를 잊지 못해 멀리서 찾아오는 손님들도 있다. 새삼 화려했던 날이 돌아오기를 꿈꾸는 건 아니지만 아직 가위를 놓을 수는 없다.

한 명이라도 내 가위질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다면, 나는 여기서 기다릴 것이다.
2020-05-20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