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활발한 사람이 걸려와 가장 약한 사람이 죽어간다

가장 활발한 사람이 걸려와 가장 약한 사람이 죽어간다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0-05-14 12:07
업데이트 2020-05-14 12: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젊어서 금방 낫는다고? 가족은 무슨 죄입니까”

서울 홍대 지역 주점을 다녀온 이들이 잇따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홍대 주점 발 감염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13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거리가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뉴스1
서울 홍대 지역 주점을 다녀온 이들이 잇따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홍대 주점 발 감염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13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거리가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뉴스1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확진자가 계속 늘고 있다. 지난 6일 이후 일주일간 131명이 감염됐고 이와 관련된 진단 검사를 3만5000건 시행했다. 신촌·홍대 주점 등에서도 확진자가 발생해 감염자는 계속 늘 것으로 보인다.

밤낮없이 애쓰는 의료진과 방역당국의 노력에 신규 확진자 수는 한 자릿수로 떨어지며 일상을 되찾아 가는 듯 했지만 이는 한 순간에 원점으로 돌아갔다. 5월의 첫 연휴를 맞아 긴장의 끈이 풀린 젊은 층은 클럽과 주점, 번화가로 나섰고 대규모 집단감염 사태를 불렀다.

14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누적 확진자 수는 1만991명으로 이 중 20대 확진자가 27.8%를 차지했다.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최소 3배에 달하는 규모다.

20대 확진자 수는 10일 0시 기준 2998명을 기록한 이후 11일 3019명, 12일 3029명, 13일 3042명, 이날 3056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같은 기간 80세 이상 확진자는 10일 488명에서 12일 489명, 13일 490명 증가했다. 이날 80세 이상 확진자는 1명도 없지만 20대에 의한 조부모 등 고령자 전파 우려는 커지고 있다.

30대 확진자 수는 10일 1180명에서 이날 1202명으로 22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20대 확진자 수 증가폭은 58으로 30대보다 2배 이상이다.
‘검체 검사 진행 중’
‘검체 검사 진행 중’ 서울 이태원 클럽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인천지역에 확산한 가운데 13일 오전 인천시 미추홀구 미추홀구청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확진자가 머물렀던 교회를 다녀온 한 주민이 검체 검사를 받고 있다. 2020.5.13
연합뉴스
문제는 확진자 중 사망하는 사람의 비율인 치명률은 80세 이상, 7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20대의 경우 사망자가 단 1명도 없으며, 30대 사망자는 지금까지 2명 발생했다. 가장 활발한 사람이 걸려와서 가장 약한 사람이 죽어 나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클럽에 다녀온 20대 확진자로 인해 80대 외조모까지 확진 소식이 이어졌다. 예정됐던 등교 일정도 불투명해졌다. 연령별 치명률은 80세 이상이 25.51%, 70대 10.81%, 60대 2.8%, 50대 0.76%, 40대 0.21%, 30대 0.17%이다. 국내 전체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256명으로 평균 2.35%의 치명률을 기록하고 있다.

한 시민은 “클럽 앞에서 ‘본인들은 걸려도 금방 낫는다’고 자신만만하게 인터뷰 하는 언론 보도를 보고 화가 났다”면서 “다들 자신보다 가족, 고위험군인 노인이 걸릴까봐 조심하는 것인데, 생각은 조금도 안하나보다”고 비난했다.

또다른 시민 역시 “한 명의 부주의로 외할머니는 무슨 죄”라며 “소중한 가족의 생명까지 위협하는 데, 평생 후회할 짓은 하면 안된다”고 토로했다.

정은경 본부장은 “하루 망설이면 일상은 한 달이 멈출 수도 있다. 본인은 물론 가족과 이웃, 그리고 동료들을 위해 조속히 검사를 받아야 한다. 방심하지 않는 경각심과 꾸준한 인내심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