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중국 병사 주먹다짐 벌여 11명 부상, 시킴주 어떤 곳?

인도와 중국 병사 주먹다짐 벌여 11명 부상, 시킴주 어떤 곳?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5-11 11:16
업데이트 2020-05-11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과 인도 군 병사들은 평소 시킴주의 국경을 공동 관리하며 어울려 지내기도 하지만 이따금 무력 충돌도 일으킨다. AFP 자료사진
중국과 인도 군 병사들은 평소 시킴주의 국경을 공동 관리하며 어울려 지내기도 하지만 이따금 무력 충돌도 일으킨다.
AFP 자료사진
인도와 중국 병사 수십명이 국경을 공유하는 시킴주에서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간) 주먹다짐이 벌어져 11명의 두 나라 병사가 다쳤다고 영국 BBC가 10일 전했다.

시킴주의 국경 가운데 나쿠 라 지역에서 드잡이가 벌어졌는데 이곳은 히말라야 고봉들이 죽 둘러서 있는 해발 고도 5800m의 높은 지대다. 보통사람은 그냥 선 채로 호흡하는 일도 쉽지 않은 곳이다. 서너 걸음만 움직이면 머리가 띵해지며 고소 증세를 느끼는 곳인데 주먹다짐을 벌였다는 것이다. 7명의 중국 병사, 4명의 인도 병사가 부상을 당했다. 지역 지휘관들끼리 대화해 분쟁을 뜯어 말렸다고 방송은 인도 매체의 보도를 인용해 전했다.

두 나라는 3400㎞의 국경을 공유하고 있다. 국경을 공유한다는 표현이 낯설 것이다. 여기서 잠깐 시킴주의 연혁을 살펴보자. 1950년 인도의 보호령이 됐으나 1974년 총선거에서 친인도계 ‘시킴 국민의회’가 승리한 뒤 인도에 합병을 요구했고, 이에 따라 인도군이 진주해 왕궁 수비대의 무장을 해제, 왕을 감금했다. 다음날 국민의회는 인디라 간디 인도 총리의 지원을 얻어 일방적으로 왕정을 폐지하고 인도에 합병 결의를 했으며 국민투표에 부쳐 97.6%의 찬성을 얻었다. 결국 1975년 5월 16일 인도에 의해 22번째 주로 합병됐다. 중국에 병합되느니 인도가 낫다는 친인도계 주민들의 뜻에 따른 것이었다.
지도 가운데 시킴 위쪽이 네팔과 중국, 그 오른쪽 아래는 방글라데시다.인도는 동북 잠무 카슈미르부터 시킴주, 그리고 그 동쪽 여러주까지 영토 분쟁이 일어날 수 밖에 없는 지리적 여건을 갖고 있다.
지도 가운데 시킴 위쪽이 네팔과 중국, 그 오른쪽 아래는 방글라데시다.인도는 동북 잠무 카슈미르부터 시킴주, 그리고 그 동쪽 여러주까지 영토 분쟁이 일어날 수 밖에 없는 지리적 여건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인구 다수는 네팔계가 차지하고 있다. 시킴 북쪽에 자리한 중국은 한동안 인도의 시킴 병합을 인정하지 않았다. 해서 중국 지도 중에는 시킴이 독립국으로 표시된 지도도 있다.

하지만 중국은 2003년 시킴을 인도의 영토로 사실상 인정하고 2006년 국경을 열어 자유로운 왕래를 가능하게 했다. 분명 인도의 한 주이지만 입국을 위해서는 따로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 특이한 곳이다.

그런데 이런 지역에서 크고 작은 충돌은 늘 끊이지 않는 법이다. 가슴을 밀치거나 떠밀거나 메치고 서로에게 돌을 던지는 투석전도 이따금 벌어진다. 1962년에는 전쟁도 벌였다. 2017년 중국이 이 고원에로 들어오는 도로 확장 공사를 벌이자 두 나라는 충돌했다.

그런데 지난 40년 넘게 물리적 충돌과 대치가 이어졌지만 신기하게도 총알 한 방 발사되지는 않았다고 방송은 전했다.

앞서 지난 5∼6일에는 카슈미르 인근 라다크에서도 난투극이 벌어져 양측 군인 여러 명이 다쳤다. 라다크는 현재 인도가 실질적으로 관할하는 지역인데 1962년 인도와 중국이 영유권을 놓고 무력 충돌을 벌인 이후에도 아직 국경 분쟁이 해소되지 않았다. 특히 이 지역의 판공 호수는 인도와 중국이 각각 3분의 1과 3분의 2를 분할 통제해 평소에도 긴장이 감도는 지역이다. 2017년 8월에도 양국 군인 끼리 난투극이 벌어졌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