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번진 클럽發 감염 54명… ‘나 하나쯤’ 검사 미루면 확산 못 막는다

전국 번진 클럽發 감염 54명… ‘나 하나쯤’ 검사 미루면 확산 못 막는다

박찬구, 이현정 기자
입력 2020-05-11 01:16
업데이트 2020-05-11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주까지… 황금연휴 집단감염 방역 비상

무증상 30%… 일주일새 2차 감염 11명
“젊은층 전파력 강하고 빨라 신속 검사를”
유은혜 “등교 재연기 여러 가능성 열어둬”
‘나 하나쯤이야’라는 안일함이 또다시 코로나19 집단감염을 불렀다. 황금연휴 기간 집단감염이 현실화하자 ‘생활 속 거리두기’ 지침을 더 잘 지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감염이 서울에서 제주까지 전국으로 확산하면서 2차 감염이 잇따르고 있다. 방역 당국은 클럽 특성상 밀폐되고 밀접한 노출로 인해 양성률이 높을 수 있다고 보고 지난달 말부터 지난 6일까지 이태원 클럽·유흥시설 방문자는 신속히 진단검사를 받아야 한다며 속도전을 강조했다.

당초 13일 고등학교 3학년을 시작으로 순차 개학하려던 교육부에선 등교 일정을 지금 당장 결정하는 건 시기상조라면서도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모든 위험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으며 여러 가능성을 두고 신중히 판단하겠다”면서 “정부도 역학조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위험성 정도 등 여러 사항을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의 영향으로 10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환자는 34명을 기록했다. 신규 확진환자가 30명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달 12일 32명 발생 이후 28일 만이다. 확진환자 34명 중 지역사회 감염이 26명을 차지했고, 이 중 이태원 클럽 관련 확진환자가 24명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후 0시부터 낮 12시 사이 이태원 클럽발 확진환자가 11명 추가돼 35명으로 늘었다. 이전 확진환자를 합치면 이태원 관련 확진환자는 모두 54명이다. 이들 중 무증상으로 진단된 사례가 30%에 이른다.

방역 당국은 이태원 클럽발 감염이 공통의 감염원 또는 초발환자 1명에 의한 전파라기보다 산발적인 별도의 감염원들에 의한 상황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 1일 첫 발병 이후 일주일 사이 발생한 54명 중 7명이 가족·지인 등을 전염시켜 11명의 2차 전파 사례가 보고될 만큼 속도가 굉장히 빠르고 전염성이 높다”면서 “국민들께서 개인 방역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브리핑에서 일부 지자체가 이태원 유흥시설 방문자에게 ‘대인접촉 금지 명령’을 내린 데 대해 “방역에 도움이 되는 방안”이라며 “이를 전국에 확대할지 검토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5-11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