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뿌리 뽑힌 채 부유하는 존재들… 그들의 이야기가 내게로 왔다

뿌리 뽑힌 채 부유하는 존재들… 그들의 이야기가 내게로 왔다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5-05 17:30
업데이트 2020-05-06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려인 강제 이주」 소설로 풀어낸 김숨

이미지 확대
장편 소설 ‘떠도는 땅’ 출간 김숨 작가.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장편 소설 ‘떠도는 땅’ 출간 김숨 작가.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뿌리 뽑힌, 제대로 이식되지 못하고 부유하는 존재들에게 관심이 많습니다.”

김복동·길원옥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을 오롯이 담았던 김숨(46) 작가가 이번엔 고려인 강제 이주 이야기를 들고 나온 이유다. 지난 4일 서울 정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그에게 최근 낸 장편소설 ‘떠도는 땅’(은행나무)의 집필 계기를 묻자 “그들의 이야기가 내게로 왔다”고 했다. 1947년 북한에서 구소련에 의해 러시아 캄차카에 노무자로 간 조선인들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고, 어딘가에 갔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쌓여 강렬하게 남았다. 이야기가 오면 일단 쓰고 보는 작가는 거침없이 내달렸고, 이후 2년 6개월 동안 퇴고하는 시간을 가졌다.

‘떠도는 땅’은 1937년 연해주에 거주하고 있던 고려인 17만명이 스탈린 정권에 의해 화물열차에 실려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사건을 소재로 한다. 작가는 화물칸이라는 열악한 공간을 배경으로, 열차에 실린 사람들의 목소리, 특히 여성의 목소리를 빌려 디아스포라의 운명을 그린다. 그들의 입으로 발화한 그 시기 연해주는 소련인들과 조선인들 간에, 조선인들 사이에서도 임시 거주증을 가진 사람과 가지지 못한 이들 간에 차별과 갈등이 존재하는 곳이다. 작가는 “극적인 상황을 소재로 했지만, 극적으로 그리지는 않으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영웅 서사를 배제하고, 민족이나 계급 차보다 개개인에게 초점을 맞췄다. “소설 속 임산부 금실의 대사 중에 ‘가장 선한 사람도, 가장 악한 사람도 조선인이었다’는 말이 있어요. 한 인간 안에도 선과 악이 동시에 있죠. 인간이 갖고 있는 속성을 좀더 들여다보고 싶었어요.”

‘그로테스크’하다는 평을 많이 들었던 김숨의 초기 소설과 달리 기찻간은 살풍경스럽진 않다. 지독한 추위 속 만성적인 식량 부족에 시달리면서도 구멍 난 장화를 몰래 기워 주는 인심이 있다. “어느 순간부턴가 제가 정서적으로 소화할 수 없는 장면들이 있어요. 피해자들, 생존해 계신 분들에 대한 넘지 않아야 할 어떤 선 같은 게 제 안에 생기기도 하고요. 그분들에 대한 예의죠.” 행여 행상 나간 남편에게 우환이 닥칠까 이가 들끓는 머리를 자르지 못하는 아내, 저고리 가득 각종 곡식의 씨앗을 품은 시어머니는 소설이 말하는 인간 존엄의 상징이다.

2015년 이상문학상 수상작인 ‘뿌리 이야기’처럼, 작가가 유독 뿌리 잃은 사람의 이야기에 천착하는 이유는 뭘까. 그는 자신의 기질 때문이라고 했다. “어릴 때부터 집을 떠나 어딘가에서 자야 할 때마다 굉장한 불안을 느꼈어요. 할머니 댁에 가도 저녁 때가 되면 집에 가고 싶어서 안달하는 상태가 됐고요. 하룻밤 자야 하는 상황에서 집에 돌아온 적도 있죠. 그래서 그런 분들이 갖는 공포와 불안에 시선이 가나 봐요.” 한 번 들으면 각인되는 ‘숨’은 필명(본명은 수진이다). 그에 관해 물었는데 뜻밖에 “별달리 의미 부여를 안 했던 이름”이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좋아하는 소설가에게서 ‘숨을 데를 마련했냐’는 질문을 받았어요. ‘숨’ 하면 ‘숨쉬다’, ‘숨는다’가 모두 연상되는데, 가만 생각해 보면 늘 숨어 있을 곳, 숨겨 줄 만한 누군가를 끊임없이 찾고 필요로 했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저절로 의미가 다가온 이름, 그 자체로 숨쉬고 있는 필명에 관한 그의 설명이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5-06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