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 최종투표율 66.2%…28년 만에 최고치

21대 총선 최종투표율 66.2%…28년 만에 최고치

이보희 기자
입력 2020-04-16 18:35
업데이트 2020-04-16 18: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1대 총선 지역구 당선자 현황(최종) 2020.4.16 서울신문DB
21대 총선 지역구 당선자 현황(최종) 2020.4.16 서울신문DB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제21대 총선에서 전체 유권자 4399만4247명 가운데 2912만6396명이 투표에 참여, 66.2%의 최종 투표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총선 투표일인 16일 투표 마감 후 오후 8시 20분쯤 공개한 잠정치와 같은 것이다. 다만 최종 확정된 투표 참여자는 잠정치 공개 당시의 투표 참여자 2912만8040명보다 1644명이 줄어들었다.

선관위 관계자는 “최종 확정된 투표자 수는 투표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며 “선거인 명부에 서명한 후 투표지를 투표함에 넣지 않고 가져가버리거나 관외 사전투표 회송용 봉투에 투표지가 없는 경우 등이 반영돼 투표자 수가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종 투표율에는 지난 10∼11일 실시된 사전투표의 투표율 26.69%와 재외·선상·거소 투표, 오후 6시 이후 별도로 투표를 진행한 코로나19 자가격리자들의 투표율도 포함됐다.

이번 투표율은 지난 17대 총선(60.6%) 이후 16년 만에 ‘마의 60% 벽’을 넘게 됐다.

특히 지난 1992년 14대 총선 이후 2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수치다. 앞서 총선 투표율은 ▲ 14대 71.9% ▲ 15대 63.9% ▲ 16대 57.2% ▲ 17대 60.6% ▲ 18대 46.1% ▲ 19대 54.2% ▲ 20대 58.0% 등이었다.

이번 총선에서 높은 투표율을 기록하게 된 주요 배경으로는 코로나19 사태에도 유권자들의 정치에 대한 높은 관심도와 2014년 도입된 사전투표제의 안정적 정착 등이 꼽힌다.

17개 광역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인 곳은 울산으로 68.6%를 기록했고, 가장 낮은 곳은 충남(62.4%)이었다. 서울은 68.1%로 전체평균보다 높았다. 나머지는 세종(68.5%), 전남(67.8%), 경남(67.8%), 부산(67.7%), 대구(67.0%), 전북(67.0%), 경북(66.4%), 강원(66.0%), 광주(65.9%), 대전(65.5%), 경기(65.0%), 충북(64.0%), 인천(63.2%), 제주(62.9%) 순이었다.

한편 21대 총선 결과 더불어민주당과 비례정당 더불어시민당이 단독으로 180석의 의석을 차지하게 됐다.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은 103석 확보에 그쳤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