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여야 최소 1조弗 추가 부양책 공감

美여야 최소 1조弗 추가 부양책 공감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4-07 22:24
업데이트 2020-04-08 06: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트럼프 “현금 직접 지원 방안 고려해” 펠로시 “코로나 대응 추가 지원 필요”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그의 ‘정적’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사진은 2017년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식을 위해 의회를 방문한 당시 펠로시 의장과 악수하는 모습. AP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그의 ‘정적’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사진은 2017년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식을 위해 의회를 방문한 당시 펠로시 의장과 악수하는 모습. AP 자료사진
코로나19 사태가 확산하자 지금까지 세 차례에 걸쳐 2조 달러(약 2450조원)가 넘는 부양책을 쏟아낸 미국 정치권이 또 한번 대규모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다.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6일(현지시간) 자당 의원들과의 콘퍼런스콜에서 최소 1조 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 패키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펠로시 의장은 개인에 대한 추가 현금 지원과 실업보험, 푸드스탬프(저소득층 영양지원) 등 재원 확보를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백악관 일일 브리핑에서 현금 직접 지원 방안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그는 지난달에도 트위터로 “‘4단계’ 부양책이 적어도 2조 달러 규모는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역시 기자들에게 “국채 발행 가능성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 채권을 내놔 자금을 조달한 것처럼 국채를 활용해 코로나19 대응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설명이다. 추가 부양 논의가 본격화되자 이날 미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1627.46포인트(7.73%) 폭등한 2만 2697.99로 장을 마쳤다.

‘앙숙’인 트럼프 대통령과 펠로시 의장이 추가 부양책의 필요성에 뜻을 같이하는 것은 코로나19 충격파가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이날 민주당 콘퍼런스콜에 참여한 재닛 옐런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은 “올해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30%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통화기금(IMF)도 블로그를 통해 “올해 경기침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나쁠 것”이라면서 “이처럼 빠르고 충격적인 (미 실업률) 증가는 이전에는 한 번도 보지 못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금까지 트럼프 행정부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총 2조 2000억 달러가량을 마련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20-04-08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