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센터 직원 절반 “근무인원 그대로… 정부 지침 효과 없어”

콜센터 직원 절반 “근무인원 그대로… 정부 지침 효과 없어”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20-04-05 17:58
업데이트 2020-04-06 03: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민단체 ‘직장갑질119’ 설문조사

가림막을 설치한 수원시 휴먼콜센터.
가림막을 설치한 수원시 휴먼콜센터.
“머리에 우산을 쓰고 상담하래요. 상담 내용을 입력해야 하는데 우산대는 눈앞에 떡하니 있고…. 이게 뭐 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콜센터 상담원 박미영(가명)씨의 근무 환경은 최근 더 열악해졌다. 지난달 9일 서울 구로구 콜센터에서 160여명의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뒤 정부가 콜센터 맞춤형 코로나19 예방지침을 내놨지만 상담원들은 불편만 커졌다고 입을 모았다. 박씨는 “일주일에 한 번만 재택근무하고 대부분 회사에서 생활한다. 근무 인원이 거의 그대로라 (상담원 간) 간격을 넓힐 수 없다. 형식만 맞추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노동 시민단체인 ‘직장갑질 119’ 등은 5일 콜센터 상담원 622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3일까지 설문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달 12일 고용노동부는 ▲근무 밀집도 개선 재택근무 ▲시차 출퇴근 등 직원 간 감염 예방 ▲감염병 전담자 지정 등의 콜센터 사업장 예방지침을 발표했다.

이번 설문에 응한 상담원 중 386명(59.2%)은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정부 지침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314명(50.5%)이 실효적이지 않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쉬고 싶어도 자유롭게 연차나 휴가를 내지 못한다는 답변이 39.7%(247명)에 이르렀다. 관리자가 휴가 사용을 통제하기(209명) 때문이다.

직장갑질 119는 “정부와 원청회사, 도급회사의 코로나19 대응이 눈 가리기 대책에 머물고 있다”며 “일터의 하청화, 위험의 외주화라는 바이러스를 퇴치하지 않는 한 국민의 생명을 지킬 수 없다”고 지적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20-04-06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