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19세기 런던의 콜레라, 그리고 현재 우리의 코로나19/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2030 세대] 19세기 런던의 콜레라, 그리고 현재 우리의 코로나19/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입력 2020-03-12 23:38
업데이트 2020-03-13 04: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트렌디한 카페나 레스토랑이 많은 영국 런던의 소호 거리는 150여년 전 수인성 전염병인 콜레라로 많은 사람이 죽어 가던 곳이었다. 당시만 해도 과학 수준이 그리 높지 않아 사람들은 콜레라의 원인이 나쁜 공기 때문이라 생각하고 창문과 대문을 걸어 잠그며 대처했다.

이때 콜레라의 원인을 밝혀낸 사람이 있었으니, 마취과 의사였던 존 스노였다. 현대 역학(Epidemiology)의 아버지라 불리는 스노는 콜레라균이 공기가 아닌 물을 통해 전파된다는 가설을 세우고 조사를 하기 시작했다. 마치 셜록 홈스와 같이 당시 소호 거리 지도를 들고 콜레라 환자들이 마신 물을 기록하며 단서를 찾기 시작했다.

그리고 브로드 거리에 있던 펌프를 런던 콜레라의 숙주로 지목했고, 결국 해당 펌프를 폐쇄하고 난 후 콜레라의 기세는 꺾이기 시작했다.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여전히 소호 거리에는 ‘브로드가 콜레라 펌프’가 존재한다. 콜레라의 대유행, 그리고 그 해결 과정에서 인류는 깨끗한 물의 소중함을 인식해 급속여과법, 오존살균법과 같은 정수방법을 발명하기 시작했고, 대도시를 중심으로 재정 투입을 통해 상하수도 인프라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덕분에 인프라가 구축된 현대 도시에서 이제 콜레라는 찾아보기 힘든 질병이 됐다.

이렇듯 과학은 무형의 공포였던 콜레라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게 만들었고, 인류는 그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리고 공학은 상하수도 시스템을 조성해 더는 수인성 전염병이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만들었다. 아직도 갠지스강 어귀의 어느 동네에서는 강물을 성수라 여기고 마실 수 있겠지만, 문명인이라면 정수처리되지 않은 물을 그대로 마시지 않는 것이 상식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이 역병으로 인해 우리 사회에 개인위생 지식 수준은 상당히 높아졌다. 이제는 누구나 화장실에서 나올 때 손을 씻으며, 기침할 때는 옷소매로 가린다. 비말감염 개념도 알게 됐고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는 것은 자제하게 됐다. 부디 이 사태가 잘 해결된 후에도 이런 상식이 정착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는 화장실에서 나올 때 손을 씻지 않는다거나, 술자리에서 술잔을 돌린다거나, 공공장소에서 대차게 기침을 한다거나 하는 행위가 없어지길 바란다.

19세기 런던 콜레라는 더없는 재앙이었다. 하지만 인류는 콜레라를 극복하며 수인성 전염병을 현대 문명에서 삭제시킬 수 있었다. 코로나19는 유치원과 초ㆍ중ㆍ고교의 개학을 3주까지 연기시킬 정도로 우리 사회를 크게 할퀴며 지나가고 있다. 많은 사람은 이러한 상황에서 화가 나기도 하고, 타인을 원망하기도 한다. 하지만 150년 전 우리 선배들이 콜레라를 극복해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들었듯이 우리도 코로나19를 극복한 후 더 위생적인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길 바란다. 인류는 언제나 그래왔듯이, 이 또한 잘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믿는다.
2020-03-13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