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 콜센터 코로나19 안 돼” 2주간 집중 관리

“부산서 콜센터 코로나19 안 돼” 2주간 집중 관리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0-03-12 08:44
업데이트 2020-03-12 08: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확산 막아라” 긴급 방역
“확산 막아라” 긴급 방역 경기도가 11일 오후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경기도청 콜센터 사무실을 소독하고 있다. 경기도는 도내 콜센터 긴급 점검과 방역을 실시했다.
수원·서울 연합뉴스
부산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12일부터 27일까지 2주간을 고위험사업장 집중 관리기간으로 정하고 관리에 들어간다.

시는 이 기간 중 부산지역의 콜센터 148곳을 비롯해 노래방 1884곳, PC방 995곳, 학원 625곳, 교습소 277곳 등 집단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전담공무원 지정, 현장점검 등 방역강화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시는 집중관리기간 동안 콜센터 사업장에 대해 전담공무원을 지정해 손 소독제, 마스크 착용 등 위생 수준을 점검하고 주기적으로 방역을 할 계획이다.

매일 두 번씩 발열 상태를 확인해 유증 상자는 격리토록 하고, 시설 내부공간 간격 조정, 유연근무제 및 자택근무를 통해 밀집도를 낮추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구로구 콜센터에 코로나19가 집단확산 된 후 부산에 위치한 콜센터의 기업별 대응조치 및 요청사항 등을 수렴하고 부산진구 콜센터를 방문,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이에 콜센터 관계자는 “현재 기업에서도 비상상황에 대비해 강도 높은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다”며 “전 직원을 대상으로 1일 2회 발열 체크, 상담 시 마스크 의무착용, 회식 및 외부출장 금지, 점심 식사 동안 개인별 일정 거리 유지 등을 통해 코로나 확산방지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재택근무 적용을 위해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콜센터상담업무 특성상 방역용 마스크보다는 1회용 마스크가 절실히 필요하다”며 시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부산시는 지역에 소재한 콜센터 종사자에게 1회용 마스크 1만 장을 전격 지원키로 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